기업 현장을 찾아 나선 김문수 지사. ⓒ G뉴스플러스 허선량
“2020년 경기도 인구는 1450만명, 1인당 지역내총생산(GRDP)은 3만5000달러에 달한다. 도내 사회적 기업은 1000여개로 지금보다 무려 10배 이상 증가한다.”
꿈같은 청사진일지 몰라도, 규모나 내용면에서 각 분야별로 성장 동력을 발휘하면 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다.
경기도가 수립한 도의 발전 전략과 비전을 담은 ‘경기도 종합계획(2012~2020)’이 국토해양부로부터 2월 28일 최종 승인을 받았다.
이번에 승인된 ‘경기도 종합계획’은 국토종합계획의 방침을 수용해 경기도 차원에서 구체화시킨 것으로 향후 도내 31개 시‧군이 수립하는 도시기본계획에 대한 가이드라인 역할을 한다.
이번 종합계획은 글로벌 경쟁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2020년까지의 분야별 경기도정 계획을 담고 있다.
도는 종합계획의 비전을 ‘환 황해권 중심의 더불어 사는 사회’로 정하고 대한민국 성장의 선도 지역, 참살이가 보장되는 복지공동체, 건강한 녹색사회, 살고 싶은 문화생활 공간 등을 4대 목표로 정했다.
경기지역을 8곳의 광역거점(수원, 안산, 부천, 고양, 양주, 남양주, 성남, 평택), 8곳의 전략거점(용인, 안양, 오산, 동탄, 화성남양, 김포, 파주문산, 의정부, 이천), 18곳의 지역거점 등으로 분류해 거점별 발전 전략을 마련했다.
7대 핵심 추진전략으로 글로벌 교육·과학·연구벨트 조성, 서해안권 신성장산업 전략특구 조성, 경기북부지역 신성장밸리 조성, 동아시아 문화허브 조성을 위한 창조도시 건설, 수도권 광역철도망 확충과 역세권 개발, 남북한 경제교류협력 및 통일대비 기반 조성, 저탄소녹색사회 실현을 위한 스마트 공간 구축 등이 큰 틀이다.
세부 종합계획으로 국제·남북교류, 산업·경제, 복지여성·안전, 교육, 환경, 교통·물류, 문화·관광, 도시·주택 등 8대 부문별 전략 계획이 수립됐다.
5대 권역별 발전 전략도 경부권역, 서해안권역, 경의권역, 경원권역, 동부권역 등으로 나뉘어 구체화했다.
8곳 광역거점, 8곳 전략거점, 18곳 지역거점의 공간체계 구축 도표. ⓒ G뉴스플러스
도가 지난해 12월 16일 국토해양부에 신청한 이번 종합계획은 그동안의 개발 등 계획이 중앙정부로부터 벗어났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도는 그동안 전국 8개 도 단위 광역자치단체 중 유일하게 독자적인 종합계획을 수립하지 못하고 국토부의 수도권정비계획에 의존해 왔다. 그러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거시적인 2020년 경기도의 분야별 도정 계획을 수립해 마침내 정체성을 찾은 것이다.
각종 규제에 묶여 있던 경기도가 지방분권 차원에서 핵심추진 발전 전략을 수립했다는 자체가 장족의 진전을 이룬 셈이다.
이번 종합계획의 의미는 지역현안을 해결하는 데 걸림돌인 각종 규제에 대해 지방분권 차원의 강력한 메시지를 중앙정부가 받아들였다는 점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그동안 경기도는 국토기본법에 의한 ‘도 종합계획’ 수립 대상이었으나 1980년 제정된 수도권정비계획법에 의해 자체적으로 진행하지 못했다”며 “경기도의 지속적인 건의로 이번에 자체적인 종합계획을 마련해 국토부의 승인을 받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