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취재】경기도 대학특집시리즈 ④
대입시즌을 맞아, 경기도내 대학들의 이모저모를 알아본다.
아주대학교 학생 홍보대사에게 정시모집과 학과에 대하여 들어본다.
2013학년도 수능 점수가 발표되고 보름이 지났다. 매년 치러진 수능이지만, 이번 수능은 특별한 의미가 있다. 60만이 넘는 수험생이 함께 동일한 시험을 보는 마지막 수능이기 때문이다. 내년 수능부터는 언어·수리·외국어가 A형과 B형으로 나뉘며 탐구과목 선택 과목도 줄어든다. 많은 규정들이 변화되기에 다음 입시에서는 상당한 혼란이 찾아올 것이 예상된다. 그렇기에 올해 입시생들은 재수를 선택하기 더 어려운 상황이다. 어느 시기보다 입시 문제로 고민하고 있을 학생들을 위하여 경기도대학생기자단 교통분과가 경기도 내 대학들에 대한 정보를 조사해 보았다. 이 기사가 원서접수를 앞둔 학생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희망해 본다.(경기도대학생기자단 교통분과장 주)

아주대학교 현판. ⓒ 김창훈 기자
경기도 수원에 위치한 아주대학교는 12월 22일부터 27일까지 정시 원서접수를 실시한다. 원서접수는 가,나,다군 모두 실시되며, 일반전형 외에도 가군에는 국가유공자 및 사회기여자전형과 정원외로 선발되는 기회균형선발전형이, 그리고 다군 역시 입학정원과 별개로 선발되는 농어촌학생 특별전형이 있다.
아주대학교 홍보대사로 학교를 알렸던 한재현(기계공학과) 학생과의 인터뷰를 통해 아주대학교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김창훈 기자(이하 김): 아주대학교를 한마디로 말한다면?
한재현 학생(이하 한): 아주대학교는 작지만 강한 학교라고 생각해요. 저희 학교가 다른 학교에 비해 역사도 짧고 학생 수도 적은 편이지만, 취업이나 연구 등 많은 성과를 올리고 있지요.
김: 올해 아주대학교 정시모집의 특징은?
한: 여러 특징들이 있지만,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하겠습니다. 먼저 정시 나군이 새로 생겼습니다. 나군에서는 전자공학, 기계공학, 소프트웨어융합학과 신입생을 선발합니다. 참고로 정시 가군에서는 수능 70%, 학생부 30%를, 나군과 다군에서는 수능성적만 100% 반영해요. 두 번째로는 영역별 반영 비율의 변화입니다. 작년에 비해 가군의 외국어영역 반영비율을 5% 낮추는 대신, 자연계열은 언어, 인문사회계열은 탐구영역 반영비율을 각각 5% 높였습니다. 다군에서는 수리영역 반영비율이 더 높아졌어요. 그리고 신설된 나군에서는 수리, 탐구영역만 각각 50%씩 반영합니다. 언어나 외국어영역에 취약한 수험생이었다면 관심을 가져볼 만하지요. 마지막으로는 학과별 모집을 들 수 있겠네요. 기존의 학부제 대신 학과별로 세부 전공이 만들어 졌습니다. 때문에 지원하실 때 정확하게 어떤 학과에 지원할 것인지 확인하셔야 합니다.

정시 영역별 반영비율. ⓒ 아주대학교
김: 아주대학교만의 특별한 학과는?
한: 저희 학교는 최근 융,복합학문 연구에 많은 중점을 두고 있어요. 대표적으로 금융공학과와 소프트웨어융합학과를 들 수 있는데요. 금융공학과는 금융문제 해결에 최적화된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신설된 학과인데요, 학생들은 경제학, 경영학 뿐 아니라 금융과 관련된 다양한 학문을 배우게 됩니다.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5년에 걸쳐 75억원의 재정지원도 받게 되었지요. 소프트웨어융합학과는 단순한 소프트개발을 넘어 사회에서 요구하는 다양한 필요에 따른 맞춤식 교육을 실시합니다. 이를 위해 국내 소프트웨어 업체들과 MOU를 체결하는 한편, 지식경제부가 주관하는 ‘서울어코드 활성화사업’에 선정되어 7년간 38억의 지원금을 받습니다. 이 외에도 e-비즈니스학과, 문화콘텐츠학과 등 특성화된 학과들이 있습니다.

아주대에서 열렸던 ‘경기도바로알기’ 퀴즈왕 선발대회. ⓒ 김창훈 기자
김: 학교 정보를 알 수 있는 사이트가 있나요?
한: 우리 학교 입학정보 사이트(
http://www.iajou.ac.kr)에 들어가시면 입학과 관련된 상세한 설명을 찾을 수 있고, 혹시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아주 특별한 입시(아특시,
http://cafe.naver.com/ajouiphak)에 질문하시면 우리 학교 입학홍보대사와 재학생 선배들이 친절하게 답변해 줍니다. 재학생들을 위한 커뮤니티로는 아주대를 좋아하는 사람들(아좋사,
http://cafe.daum.net/ajouloveyou)과 아주존(
http://www.ajouzone.com)이 있어요.

아주대와 관련된 정보를 알 수 있는 웹 사이트들. ⓒ 김창훈 기자
김: 아주대학교는 어떻게 갈 수 있나요?
한: 저희 학교에 찾아오기 힘들다는 분들이 많이 계세요. 그래도 경기도 버스가 이제는 환승할인도 되고, 밤에도 서울로 가는 버스가 다녀서 심각할 정도로 불편하지는 않아요. 서울에서 오실 때는 광역버스를 타시면 되는데요, 강남역에서는 3007번을, 사당역에서는 7000, 7001번을 타시면 학교까지 약 40분, 수원역에서 오실 때에는 ‘수원역북측광장’ 정류소에서 720-2번, 730번, 11-1번을 타시면 학교까지 15~20분 정도 소요됩니다.

아주대의 위치와 주변 약도. ⓒ 아주대학교
김: 마지막으로 아주대학교 예비 신입생들에게...
한: 대학교는 고등학교와는 달라도 너무 달라요. 하고 싶은 건 다 해볼 수 있죠. 홍보대사를 맡았던 저도 그렇고 저를 인터뷰하고 계신 기자분도 다 대학생이잖아요? 모쪼록 패기 넘치는 13학번을 기대 하겠습니다!

아주대학교 홍보대사 ‘AURA` 수료식. ⓒ 아주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