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어초를 바다에 가라앉히는 모습. ⓒ G뉴스플러스
경기도는 2016년까지 550억 원을 투입해 수산자원을 적극 육성키로 했다.
도는 기후 변화로 약화된 연안 생태계를 되살리며 FTA 등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고자 ‘수산자원 관리시행 계획’을 수립, 9개 분야의 사업으로 지속적인 수산자원 생산환경 조성에 나설 계획이다.
도는 올해 어업생산량 2만톤 달성 목표로 어업인 소득증대사업, 해양생태계 보전, 환경개선사업, 자원관리를 위한 기반조성사업 등에 115억 원의 사업비를 들인다. 우선 수산생물의 산란·서식환경 조성을 위해 연안 어장에 139ha 규모의 인공어초(물고기집)를 조성한다.
또 자원생태계 회복 및 지속적 생산기반 구축을 위해 조피볼락·황복 등 16종의 치어 1752만3천 마리를 방류하고, 127톤의 바지락 치패를 살포해 어족자원을 증강시킨다.
고유 토산어종 보호를 위해 베스·블루길 등 외래어종 82톤과 무용생물 40톤 등 122톤을 수매 처리할 계획이며, 포천시 수입천에 어도를 설치해 강·하천의 생태계 회복과 자원 증식을 도모한다.
해양폐기물 67톤, 해안가 쓰레기 1146톤, 불가사리 142톤을 수매 처리하고, 1067ha의 해심 어장환경을 회복하기 위해 침적된 폐어망을 인양 처리한다. 환경정화 200ha, 화장실 20개소 설치 등 낚시터의 환경도 개선한다.
임진강·북한강 등에 인공산란장 37개소를 설치하고, 기존의 산란장 81개소는 보수·유지 관리해 내수면 어류의 산란환경을 좋게 한다. 또 어구에 사용되는 유해 납추 대신 친환경 스테인리스 추 8만개를 교체하고, 고양시 등 4개 시군 480ha의 내수면에 홍수 등으로 침적된 폐 어구와 각종 쓰레기를 수거한다.
어업인이 자율적으로 어업자원을 조성·관리하도록 지속적인 어업생산 기반 구축 차원에서 3개소 이상의 신규참여 공동체를 발굴한다. 또 자율관리공동체 10개소에 어촌체험 관광시설, 어장관리선, 공동판매시설 등을 지원한다.
아울러 불법어업 근절은 물론 자율적인 어업 질서 확립을 위해 무허가 불법어업, 삼중자망 어구 사용, 그물코 규격위반 사항 등을 강력하게 지도 단속할 방침이다.
불법 어업을 단속하는 모습. ⓒ G뉴스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