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 여의도 면적(8.35㎢)의 약 162배가 간척되거나 진행 중으로 연안면적이 늘어나 해양관광, 항만 등 복합적 개발수요가 기대되고 있다. 연안의 공간과 자연환경 자원으로서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해서는 육지 중심에서 육지와 해양을 포괄하는 통합관리체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경기개발연구원 환경연구실 송미영 선임연구위원은 <경기만의 연안환경관리 조건>에서 과거 농지확보를 위해 간척해 온 연안지역의 새로운 이용 수요를 충족하면서도 해양자원의 가치를 이용하기 위한 연안관리 방안의 기본 조건을 제안하였다.
▲ 연안은 주요한 자원이자 삶의 터전…경제적 가치만 14만 2,160억 달러
땅과 바다사이 공간인 연안은 육지와 다른 갯벌, 백사장 등 다양한 요소가 해양관광, 신재생에너지단지 등으로 이용 가능해 복합적 개발수요가 있는 곳이다. 경제적으로도 14만 2,160억 달러의 가치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인구밀도는 국내 인구의 26.9%, 전국 사업체 종사자의 25.4%를 차지한다. 경기?인천 연안에도 전국에 비해 인구밀도가 높고 연안 시?군의 재정자립도도 54.7%로 전국 평균 25.5%에 비해 높다.
연안은 자연정화능력이 뛰어나 완충지대로 작용하지만 육지로부터 영향을 많이 받아 훼손되기 쉬운 지역이다. 수도권에 인접한 경기만의 경우 타 지역보다 도시화가 진전되어 체계적 환경관리가 요구되는 상황이다. 동시에 해양레저·관광에 대한 기대 수요도 높아 지속가능한 자원관리가 전제돼야 한다.
송미영 선임연구위원은 자원의 잠재력을 높이는 연안활용방안으로 육지 중심에서 해양까지 포괄하는 관리기반 조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지역 현안과 갈등 사안에 대해 사후 대응보다 사전에 검토·대비하는 선제적, 융합적 관리정책을 펼쳐나갈 것을 제안했다.
또한 제2차 연안통합관리계획의 국가 비전인 ‘찾고 싶은 에코연안’과 연계해 경기인천권역에 대해 제안한 사업들을 적극 고려, 지역사업으로 연계하자는 조언도 덧붙였다. 경기도가 이미 추진 중인 연안정비사업이나 연안유휴지개발사업 등에 추가로 국가 지원이 가능한 해양생태계 핵심공간 조성, 우수연안경관지구 지정 등을 전략적으로 고려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책방향과 함께 경기도가 적극적으로 연안관리정책을 펼쳐나가기 위해 국가가 고려중인 해역용도나 연안해역내 기능구 지정 등 세부 현황을 파악해 도 차원의 기초자료 DB로 구축할 것도 제안했다. 이를 위해 연안조사를 정례화 하는 조례 제정 등 제도적 여건을 강화하고 지역연안관리위원회 운영도 강화하자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