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연구원이 탄소중립 실현의 ‘마지막 퍼즐’로 불리는 CCUS(이산화탄소 포집·저장·활용) 기술의 로드맵을 제시했다.
경기연구원은 최근 ‘경기도의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CCUS 정책 육성 방안’ 보고서를 발간하고, 경기도형 CCUS 육성 로드맵과 5대 전략, 18개 세부과제를 제시했다.
연구에 따르면 CCUS(Carbon capture, use,storage)는 산업·발전 등 경제활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를 대기 중으로 방출하지 않고 포집해 저장하거나 재활용하는 기술이다. 기존 산업구조를 유지하면서도 온실가스 감축이 가능한 ‘탄소중립과 경제성장 병행형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UN 등 국제기구는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CCUS 기술이 약 10% 이상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보고서는 경기도가 추진해야 할 주요 과제로 ▲경기도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 및 활용 촉진 조례 제정 ▲‘경기도 CCUS 시장 활성화 지원 공모사업’ 도입 ▲‘탄소포집 활용 실증지원센터 구축’ 공모사업 추진(시흥・화성) ▲‘도심형 컴팩트 CCUS 기술’ 공공소각시설 적용 사업 추진 ▲수요자 맞춤형 정책 도입 ▲평택항 ‘CO₂ 허브(저장) 터미널’ 구축 추진 등 6개를 제시했다.
이 가운데 특히 평택항 CO₂ 허브 터미널은 국내 산업시설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집적・운송하는 거점으로, 향후 국내외 저장소 및 활용처로 연결되는 ‘탄소 물류 중심지’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도내 기업들이 느끼는 가장 큰 애로는 보조금 및 세제 혜택 부족, 명확한 정책 가이드라인 부재, 높은 초기 투자 비용 부담 등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정부와 지자체에 ▲보조금 지원 ▲세액공제 ▲탄소배출권 거래 활성화 등 실질적 정책 지원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경기연구원은 CCUS를 탄소중립 달성의 과도기적 혁신기술이자 기후테크 신산업 육성의 출발점으로 평가했다.
보고서는 CCUS는 단순한 환경 기술이 아니라, 산업 경쟁력 확보와 수출 규제 대응을 위한 핵심 경제 전략이고, 경기도가 선제적으로 시장 기반을 조성할 경우, 국내 CCUS 산업의 중심지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강철구 경기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CCUS는 더 이상 선택이 아닌 필수다. 경기도 차원에서 기술 실증, 산업 생태계 조성, 인센티브 제도화가 병행되어야 한다”며 “경기도가 CCUS 기술 상용화를 위해 기업 맞춤형 지원을 시행해야 한다. 기술 실증–시장 확대–인프라 구축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