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SF 방역대책 추진현황
(10.13. 07:00 현재)
|
|
2019. 10. 13.(일)
|
축산산림국장 김종석
|
8030-3400
|
동물방역위생과장 임효선
|
8030-3470
|
동물방역팀장 정봉수
|
8030-3481
|
|
|
발생현황
|
|
|
|
|
|
◈ 경기도 9건 : 파주5(①연다산동9.16/④적성면9.23/⑩파평면10.1/⑪적성면10.1/⑫문산면10.2)
연천2(②백학면9.17,⑭신서면10.9), 김포2(③통진읍9.23/⑬통진읍10.2)
▶ 발생 : 전국14건(경기9, 강화5), 전일신고 없음
※ 야생멧돼지 ASF검출 3건(연천2, 철원1), 야생멧돼지1두 신고(연천) : 음성
◈ 살 처 분 : 55호 110,987두(발생 9호 23,507두, 예방 46호 87,480두)
※ 연천 8호 18,239두, 김포 13호 30,108두, 파주 33호 61,471두, 양주 1호 1,169두
|
□ 주요방역조치
○ (핵심관리지역) 김포, 파주, 연천 발생 시군 돼지 수매 및 도태 실시
- 대상 : 148호 210,722두(김포 9호 18,849두, 파주 63호 57,957두, 연천 76호 133,916두)
- 수매 : 52호 17,843두(계획농가 대비 35%) / (전일) 파주7호 1,375두, 연천1호 213두
- 도태 : 45호 39,281두(계획농가 대비 30%) / (전일) 파주 7호 3,769두
○ (경기북부 축산차량 이동통제강화) 핵심관리, 완충, 경기남부 차량 통제
- 경기북부 중점관리지역 중 발생지역인 파주, 김포, 연천을 그 외 완충지역과
구분하여 축산차량 통제조치
※ 발생 시군은 흰색스티커를 추가 발급하여 농장방문을 제한적 허용
○ (지역간 통제강화) 핵심관리, 완충, 경기남부 지역간 통제초소설치 운영강화
- 양돈농장 앞 초소 900개소(북부 335, 남부 565) 설치․운영
- 핵심관리지역~완충지역 간 통제초소(16), 완충지역~인접시군 간 통제초소(14) 설치․운영
- 살처분농장, 방역대 내, 주요도로 통제초소(54) 및 거점소독시설(39) 설치․운영
○ (항공소독) 연천·파주 임진강, 김포시 한강 일원 항공소독
- 산림청 헬기 2대 동원 368헥타(연천144,김포64,파주160)실시
○ (농가소독) 관내 돼지농가(1,321호) 집중소독(1일 2회 이상) 및 생석회 도포
- 제독차 74대, 광역방제 12대, 방제차량 88대, 축협공동방제단 40개단 동원
○ (혈청검사) 연천(14차) 발생관련 25호(역학8, 방역대17) 중 23호 검사완료(음성)
○ (교차오염방지) 핵심관리중점관리지역 축산시설 및 취약지역 소독강화
- 핵심관리지역 출입구 사료 환적장 2개소(연천1, 파주1)설치
- 야생동물 침입방지(멧돼지, 들쥐 등)조치, 축사출입절차(발판소독, 환복 등) 준수
○ (확산방지) 김포와 강화를 잇는 강화대교 및 초지대교 진출입 모든 차량 소독
○ (매몰지정비) 살처분 농가 잔존물처리 및 매몰지 사후관리
- 축사시설물 정리정돈, 생석회 재도포, 팬스설치, 멧돼지 기피제 살포
□ 향후계획
○ (영상회의) 농식품부장관 주재 ASF 일일상황 점검회의(09:00)
○ (돼지수매) 파주, 연천지역 희망농가 수매 지속추진
- 금일예정 : 연천 1호 1,000두
- 수매신청 농가 가축방역관 임상검사 및 정밀검사 실시
○ (살처분) 파주, 연천 수매 후 잔여 돼지 예방적 살처분
○ (혈청검사) 포천, 고양, 동두천, 양주지역 ASF 일제검사
○ (지역간통제강화) 핵심관리, 완충, 경기남부 중점관리지역 간 차량통제 및 소독강화
○ (잔존물처리) 김포파주연천 예방적 살처분 농가 잔존물 처리 등 사후관리
○ (매몰지사후관리강화) 발생 및 방역대 살처분 매몰지(39개소) 시군합동점검(10.14~)
지 역
(차수)
|
계
|
발생농장
|
예방적 살처분
|
비 고
(진행률)
|
호수
|
두 수
|
호수
|
두 수
|
완료일
|
방식
|
호수
|
두 수
|
완료일
|
방 식
|
합 계
|
55
|
110,987
|
9
|
23,507
|
|
|
46
|
87,480
|
|
|
|
파주(1차)
|
3
|
4,927
|
1
|
2,369
|
9.18
|
매몰
|
2
|
2,558
|
9.19
|
랜더링
|
100
|
연천(2차)
|
4
|
10,406
|
1
|
4,638
|
9.20
|
매몰
|
3
|
5,768
|
9.21
|
매몰
|
100
|
김포(3차)
|
4
|
4,189
|
1
|
2,119
|
9.24
|
매몰
|
3
|
2,070
|
9.25
|
매몰
|
100
|
파주(4차)
|
16
|
35,489
|
1
|
2,273
|
9.25
|
매몰
|
15
|
33,216
|
9.29
|
랜더링
매몰
|
100
|
파주(10차)
|
10
|
15,861
|
1
|
2,661
|
10.3
|
매몰
|
9
|
13,200
|
10.6
|
매몰
|
100
|
파주(11차)
|
3
|
2,927
|
1
|
19
|
10.2
|
매몰
|
2
|
2,908
|
10.5
|
매몰
|
파주(12차)
|
1
|
2,267
|
1
|
2,267
|
10.5
|
매몰
|
|
|
|
|
김포(13차)
|
9
|
25,919
|
1
|
2,916
|
10.4
|
매몰
|
8
|
23,003
|
10.6
|
매몰
|
연천(14차)
|
5
|
9,002
|
1
|
4,245
|
10.11
|
매몰
|
4
|
4,757
|
10.11
|
매몰
|
100
|
구 분
|
인 력(명)
|
장 비(대)
|
시군
|
총 계
|
공무원
|
군경
|
민간인
|
총 계
|
굴삭기
|
이동장비
|
기 타
|
살처분
|
합계
|
당일
|
누계
|
당일
|
누계
|
당일
|
누계
|
당일
|
누계
|
당일
|
누계
|
당일
|
누계
|
당일
|
누계
|
당일
|
누계
|
143
|
3,988
|
10
|
651
|
0
|
133
|
133
|
3,204
|
13
|
433
|
9
|
178
|
8
|
156
|
0
|
119
|
파주
|
143
|
2,151
|
10
|
294
|
-
|
-
|
133
|
1,857
|
13
|
316
|
9
|
107
|
8
|
117
|
-
|
92
|
연천
|
-
|
510
|
-
|
32
|
-
|
-
|
-
|
478
|
0
|
71
|
-
|
36
|
-
|
23
|
-
|
12
|
김포
|
-
|
1,286
|
-
|
320
|
-
|
133
|
-
|
833
|
-
|
42
|
-
|
33
|
-
|
14
|
-
|
15
|
양주
|
-
|
41
|
-
|
5
|
-
|
-
|
-
|
36
|
-
|
4
|
-
|
2
|
-
|
2
|
-
|
-
|
시군
|
수매대상 및 동의
|
수매
|
도태
|
총 계
|
전일(10.12)
|
누계
|
전일(10.12)
|
누계
|
농가
|
두수
|
농가
|
두수
|
농가
|
두수
|
농가
|
두수
|
농가
|
두수
|
계
|
148
|
210,722
|
8
|
1,588
|
52
|
17,843
|
7
|
3,769
|
45
|
39,281
|
김포
|
9
|
18,849
|
-
|
-
|
6
|
3,194
|
-
|
-
|
8
|
15,655
|
파주
|
63
|
57,957
|
7
|
1,375
|
41
|
1,3752
|
7
|
3,769
|
37
|
23,626
|
연천
|
76
|
133,916
|
1
|
213
|
5
|
897
|
-
|
-
|
-
|
-
|
구 분
|
합 계
|
발생농장
|
500m이내
|
3㎞이내
|
10㎞이내
|
합 계
|
농 가 수(호)
|
320
|
9
|
8
|
35
|
268
|
사육두수(두)
|
463,692
|
23,507
|
10,364
|
73,389
|
356,432
|
1차 발생
|
농 가 수(호)
|
20
|
1
|
0
|
0
|
19
|
(파주 연다산동)
|
사육두수(두)
|
20,749
|
2,369
|
0
|
0
|
18,380
|
2차 발생
|
농 가 수(호)
|
64
|
1
|
0
|
3
|
60
|
(연천 백학면)
|
사육두수(두)
|
97,476
|
4,638
|
0
|
5,768
|
87,070
|
3차 발생
|
농 가 수(호)
|
37
|
1
|
1
|
2
|
33
|
(김포 통진읍)
|
사육두수(두)
|
51,866
|
2,119
|
1,341
|
729
|
47,677
|
4차 발생
|
농 가 수(호)
|
46
|
1
|
0
|
15
|
30
|
(파주 적성읍)
|
사육두수(두)
|
69,253
|
2,273
|
0
|
33,216
|
33,764
|
10차 발생
|
농 가 수(호)
|
47
|
1
|
3
|
6
|
37
|
(파주 파평읍)
|
사육두수(두)
|
51,658
|
2,661
|
2,195
|
11,005
|
35,797
|
11차 발생
|
농 가 수(호)
|
52
|
1
|
2
|
0
|
49
|
(파주 적성면)
|
사육두수(두)
|
67,249
|
19
|
2,908
|
0
|
64,322
|
12차 발생
|
농 가 수(호)
|
21
|
1
|
0
|
0
|
20
|
(파주 문산읍)
|
사육두수(두)
|
22,984
|
2,267
|
0
|
0
|
20,717
|
13차 발생
|
농 가 수(호)
|
13
|
1
|
2
|
6
|
4
|
(김포 통진읍)
|
사육두수(두)
|
43,525
|
2,916
|
3,920
|
19,083
|
17,606
|
14차 발생
|
농 가 수(호)
|
20
|
1
|
0
|
3
|
16
|
(연천 신서면)
|
사육두수(두)
|
38,932
|
4,245
|
0
|
3,588
|
31,099
|
참고5
|
|
핵심관리, 완충지역과 인접지역 이동통제초소 현황
|
구 분
|
계
|
연천 ↔ 동두천
|
연천 ↔ 포천
|
연천 ↔ 양주
|
파주 ↔ 양주
|
고양 ↔ 파주
|
김포 ↔ 부천
|
핵심 ↔ 경기북부
|
16
|
3
|
4
|
1
|
4
|
3
|
1
|
구 분
|
계
|
양주 ↔ 의정부
|
포천 ↔ 의정부
|
포천 ↔ 남양주
|
포천 ↔ 가평
|
|
|
완충 ↔ 경기남부
|
14
|
6
|
3
|
3
|
2
|
|
|
구 분
|
계
|
김포
|
파주
|
연천
|
양주
|
포천
|
동두천
|
안성
|
고양
|
화성
|
가평
|
여주
|
이천
|
양평
|
남양주
|
용인
|
평택
|
광주
|
시흥
|
안산
|
의정부
|
부천
|
합 계
|
123
|
10
|
19
|
16
|
11
|
15
|
5
|
5
|
6
|
4
|
2
|
4
|
3
|
2
|
4
|
1
|
2
|
1
|
1
|
3
|
8
|
1
|
통제초소
|
84
|
9
|
16
|
14
|
8
|
10
|
4
|
2
|
4
|
2
|
1
|
|
|
|
3
|
|
|
|
|
2
|
8
|
1
|
거점소독
|
39
|
1
|
3
|
2
|
3
|
5
|
1
|
3
|
2
|
2
|
1
|
4
|
3
|
2
|
1
|
1
|
2
|
1
|
1
|
1
|
|
|
구 분
|
합계
|
가축방역
|
사료운반
|
분뇨운송
|
가축운송
|
기 타
|
합 계
|
477
|
24
|
176
|
70
|
101
|
106
|
북부권역 내
|
423
|
24
|
141
|
68
|
91
|
99
|
북부권역진입
|
54
|
-
|
35
|
2
|
10
|
7
|

① 경기 북부 : 연천, 포천, 동두천, 양주, 파주, 고양, 김포, 강화, 옹진 + 철원(강원)
※ 핵심관리지역 : 연천, 파주, 김포 / 완충지역 : 고양, 양주, 연천, 동두천, 포천, 철원(강원)
② 경기 남부 : 의정부, 구리, 남양주, 가평 + 남부 20개 시‧군(김포 제외)
③ 강원 북부 : 화천, 양구, 인제, 고성
④ 강원 남부 : 강원 북부를 제외한 강원도 내 시‧군
|
경기도 재난안전대책본부 일일보고
(10.13.일, 07:00 현재)
|
안전관리실장송재환, 사회재난과장김춘기, 사회재난대책팀장 박진일 031-8008-8455
|
|
【경기도】 道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26일차, 9.17~10.12)
ㅇ (道 야생멧돼지 신고․포획) ASF 현장통제팀 등 운영, 예찰강화
- 포 획: 3두(양평1, 연천1, 오산1) 검사중(폐사체2, 수렵1)
- 누 적: 56두(폐사체32, 포획틀15, 수렵9)
- 검 사: 확진 2두*(10.12.토, 10.3.목), 음성 51두, 검사중 3두
* 연천군 왕징면 강서리(10.12.토), 연천군 신서면 덕산리(10.3.목)
ㅇ (야생 멧돼지 포획 및 검사강화 방안) 검토
- 야생 멧돼지 포획활동 지역 확대 등 건의
· 사전 포획 및 총기 포획 道내 全 시군으로 확대 (現 경기북부 7개 시군 총기 포획 금지)
- 검사 강화 : 道 동물위생시험소 ASF 질ASF 방역대책 추진현황
(10.13. 07:00 현재)병진단기관 승인 건의
· 부패 등으로 인해 국립환경과학원 검사 불가 시, 道 동물위생시험소 검사 의뢰
- (포천, 동두천) 중앙정부 차원의 강력한 멧돼지 개체 수 감소방안 추진건의
ㅇ (양돈농가 울타리 설치 점검실시)
- 10.12~13. 양돈농가가 있는 19개 시군 전수조사
- 시군별 자체점검 여부 및 시설보완 등 추진사항 점검(담당 실국별 점검)
ㅇ (ASF 항공방제 기관 간 협력) 경기도, 국방부, 산림청
- 10.12(토) 연천-파주-김포 임진강수계 등 항공소독(368ha, 헬기 2대)
*(계획) 10.13~10.16. 헬기 정비기간, 10.17.(목) DMZ 항공방제 실시 예정
ㅇ (ASF 방역 핵심관리지역 중점 관리)
- 핵심관리지역과 연접 시·군 간 경계지역 초소(16개) 방역상황 점검 강화 지시
* 경계초소 운영 시·군 : 고양(3), 양주(5), 포천(4), 동두천(3), 부천(1)
ㅇ (실․국장 지역별 책임제) 20개 시․군, 40명
- 정부 수매․살처분 지역(파주, 김포, 연천)의 지속적인 방역태세 유지․점검
·주간점검(10.12), 14개시군28명: 점검결과 96개(거점11,통제50, 농가 35)
·야간점검(10.11), 6개시군12명: 점검결과 25개(거점6,통제 7, 농가 12)
ㅇ (농장초소인력)
- 농장초소 인력수급(10.12) : 전일대비 軍․경찰 인력 16명 증가
(단위 : 명)
구 분
|
계
|
공무원
|
경찰
|
군인
|
농협·축협
|
민간인
|
10.12
|
6,128
|
1,783
|
364
|
1,951
|
315
|
1,715
|
ㅇ (재난심리회복지원) 트라우마 등 심리상담 및 치료 연계(9.17-10.12)
- 대상 : 가축 살처분·매몰작업 참여자, 축산농가 (파주, 연천, 김포)
- 실적 : 상담(누계 1,230건), 치료연계(누계 1건 치료중)
ㅇ (행사․축제의 취소․연기) 도내 시군 총 734건(취소 471건, 연기 263건)
- ASF 확산방지·방역 차원에서 다중 행사 자제 ※ 전일대비 9건 증가
ㅇ 행정2부지사 주재, ASF 대응 시․군 부단체장 회의(09:00~ )
- 농식품부 ASF 방역대책 점검 회의 연계
ㅇ (소방) 방역용 급수지원 실적 (’19.10.12. 16:00 기준)
구 분
|
급수지원
|
동원소방력
|
급수지점
(개소)
|
급수 지역
|
횟수
|
급수량(톤)
|
인원(명)
|
차량(대)
|
금 일
|
111
|
285.1
|
222
|
111
|
111
|
18개 시군
|
누 계
|
2,591
|
6,777.5
|
5,510
|
2,599
|
2,591
|
20개 시군
|
ㅇ (시군) 재난안전대책본부 설치 및 비상근무 : 25개 시군, 160명(10.12)
ㅇ (시군) 자체 야간 방역초소 운영 점검 : 18개 시군, 391개 초소(10.12)
ㅇ ASF 방역상황 점검회의(09:00~, 농식품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