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택시처럼 부르면 오는 신개념 버스 ‘경기도 DRT(수요응답형 버스·Demand Responsive Transport, 이하 DRT) 사업’이 이용자의 높은 호응에 힘입어 다른 지역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경기도는 지난해 12월부터 추진해온 시범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경기도 DRT 사업’을 본격적으로 확대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경기도 DRT(Demand Responsive Transport)는 신도시나 교통 취약지역 도민에게 편리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도입한 새로운 형태의 맞춤형 대중교통수단이다. ⓒ 경기도청
■ 신도시·교통 취약지역 위한 맞춤형 대중교통
민선 8기 공약사항 중 하나인 ‘경기도 DRT 사업’은 신도시나 교통 취약지역 도민에게 편리한 교통서비스를 제공하고자 도입한 새로운 형태의 맞춤형 대중교통수단이다.
고정된 노선과 정해진 운행계획표에 따라 운행하는 기존 버스와 달리,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실제 승객의 수요에 맞춰 실시간으로 최적의 이동 경로를 만들어 승객을 수송하는 게 특징으로, 수요응답형 버스라고 불린다.
이용 방법은 간단하다. 승객이 전용 스마트앱에 가고자 하는 출발지와 도착지를 예약하면, 가장 가까운 곳에서 운행 중인 DRT 차량을 기준으로 노선이나 승차지점, 승·하차 시간을 실시간으로 산출해 안내한다.
승객은 안내받은 승차지점과 승차 예상 시간에 맞춰 DRT 차량에 탑승하고, 같은 시간대에 경로가 유사한 승객이 예약하면 자동으로 우회 노선을 생성해 합승하는 방식으로 운행된다.
DRT는 승객의 수요에 맞춰 실시간으로 최적의 노선이 생성되는 만큼 쾌적하고 빠르게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는 게 특징이다. ⓒ 셔클
정해진 노선이 아닌 승객의 수요에 맞춰 실시간으로 최적의 노선이 생성되는 만큼 쾌적하고 빠르게 원하는 목적지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도는 수도권 교통체계를 고려해 지하철이나 버스 등 다른 대중교통수단으로 갈아탈 시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을 받을 수 있도록 전국 최초로 DRT에 대중교통 환승할인 체계를 연계했다.
이와 함께 총비용 입찰방식 준공영제 적용으로 운영 안정성 및 공공성도 강화했다.
승객이 전용 스마트앱에 출발지와 도착지를 예약하면, 가장 가까운 곳에서 운행 중인 DRT 차량을 기준으로 노선이나 승차지점, 승·하차 시간을 실시간으로 산출해 안내한다. ⓒ 경기도청
■ 지난해 추진한 DRT 시범사업 이용자 79% ‘만족’
“DRT를 이용하면서 삶의 질이 달라졌어요.”
파주에서 학교 등·하교에 DRT를 이용한다는 한 승객은 이렇게 소감을 밝혔다. 버스와 택시의 장점을 결합한 신개념 대중교통인 DRT는 취약한 교통 인프라로 그동안 버스 이용이 어려웠던 교통취약지역 거주자에게 그야말로 가뭄의 단비로 다가왔다.
실제로 도가 지난해 12월부터 파주 운정1·2·3지구와 교하지구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추진한 결과, 현재까지 13만여 명이 이용하는 등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또 올해 5월 진행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79%가 DRT사업에 ‘만족’하고, 89%가 이를 다른 사람에게 ‘추천하고 싶다’고 응답하는 등 긍정적인 평가로 이어졌다.
사업 추천 이유로는 ‘내가 있는 곳 근처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다(67.8%)’는 점이 가장 많았고, 그 뒤를 ‘나의 목적지와 가까운 곳에 내려준다(49.8%)’, 최적의 경로로 이동해 빠르다(36.7%)‘ 등이 이었다.
이와 함께 DRT 이용 후 월평균 교통비가 낮아지는 등 대중교통 환승 요금제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용자들은 DRT를 추천하는 이유로 ‘내가 있는 곳 근처에서 승·하차가 가능하다’는 점을 꼽았다. ⓒ 경기도청
■올해 도내 7개 시·군에 DRT 사업 확대 추진
이러한 시범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도는 2·3기 신도시나 농어촌 지역 등 기존 교통체계로 교통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는 지역을 중심으로 DRT 도입을 검토 중이다.
이에 도는 지난 1월부터 현장실사를 진행해 도입에 적극적인 수원(광교)·양주(옥정)·고양(식사)·하남(위례)·평택(고덕)·안산(대부)·화성(동탄) 등 7개 시·군을 예비 대상지로 선정했다.
또 지난 5월 31일 DRT 운행을 위한 규제샌드박스를 신청했다. 현재 ‘여객자동차법’에 따르면 DRT 사업은 농·어촌 지역 또는 대중교통 부족 지역에서만 운행할 수 있다.
이에 해당하지 않는 신도시 등에서 DRT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규제샌드박스 신청을 통한 규제 특례 적용이 필요하다.
도는 올 하반기 규제샌드박스를 신청한 7개 시·군에 대해 정부(국토부) 승인이 이뤄지는 대로 DRT 도입을 우선 추진할 방침이다.
경기도는 오는 19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2022~2023년 DRT 사업 대상지 수요조사’를 추진한다. ⓒ 경기도청
이와 함께 오는 19일까지 도내 31개 시·군을 대상으로 ‘2022~2023년 DRT 사업 대상지 수요조사’도 추진한다.
도는 올 하반기 중 사업 대상지 심사위원회를 거쳐 참여 의사를 밝힌 시·군 중 DRT 운행에 적합한 지역을 선정, 사업 확대를 추진할 방침이다.
주요 선정 기준은 DRT 운행 적합성(교통현황 등), 사업 추진계획 및 사업비 투자계획 등이다.
도는 이번 사업 대상지 심사위원회에서 추가로 선정된 시·군에 대해서 2023년 상반기 내 규제샌드박스 추가 신청 등의 행정절차를 밟은 후, DRT 운행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박노극 경기도 교통국장은 “현재 도민들은 서울 출·퇴근뿐 아니라 지역 내 이동에도 버스 부족 등의 이유로 많은 불편을 겪고 있다”며 “DRT 사업 확대를 통해 도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쉽고 자유롭게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