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인의 기회, 모두의 행복”
[anchor]
경기지역 곳곳에서 예술인들을 위한 페스티벌이 열렸습니다. 공연부터 전시와 체험·마켓까지 볼거리, 즐길 거리가 가득한데요. 예술인은 작품을 알리고 도민은 예술을 손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됐습니다. 기회소득 예술인 페스티벌 현장의 다채로운 모습을 담아왔습니다.
[rep]
데뷔앨범과 함께 코로나19 사태가 터져 관객을 만나기 쉽지 않았던 밴드 ‘사라의공방’
기회소득 예술인 페스티벌을 통해 경기아트센터 야외무대에 올랐습니다.
단 4곡뿐인 짧은 공연시간이지만 관객을 직접 만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입니다.
[int] 심선영 박주희 / 밴드 ‘사라의공방’
“코로나 때문에 무대들이 많이 없어졌잖아요. 이런 기회를 주신 것도 되게 좋은 것 같고 저희도 이번 기회로 인해 다른 공연들 많이 할 수 있을 것 같아서 좋은 취지인 것 같아요.”
기타 한 대와 목소리로만 승부하는 싱어송라이터부터 고품격의 클래식 앙상블, 홍대에서나 볼 법한 밴드까지 다양한 뮤지션들이 무대에 올랐습니다.
파주 출판단지에서는 옛 정취를 물씬 풍기는 고택을 배경으로 음악 축제가 펼쳐졌습니다.
올드 팝송과 자작곡, 요즘 유행하는 아이돌 음악까지 이틀 동안 8팀이 무대에 올라 관객들의 눈과 귀를 사로잡았습니다.
[int] 한승목 정우균 도제현 / 밴드 ‘취향상점’
“지자체에서 이렇게 지원을 해준다는 것 자체가 저는 너무 감사한 일이고 또 팬분들과 소통할 수 있어서 굉장히 행복하고 소중한 기회라고 생각합니다.”
음악 공연뿐만 아니라 다양한 미술 전시도 열렸습니다.
의정부 미술도서관에서는 책을 보면서 평화, 자연풍경과 관련된 미술품을 감상할 수 있는 전시가 진행됐습니다.
경기도 신청사 로비에는 청년작가들의 작품이 걸렸고 평택 복합문화공간인 ‘공간미학’에서는 원로작가들이 경기도의 힘을 주제로 한 작품을 소개했습니다.
도자 만들기와 캐리커쳐 그리기 등 다양한 예술 체험을 할 수 있는 부스와 저렴한 가격에 예술품을 소장할 수 있는 마켓도 열렸습니다.
[int] 이다솜 / 독립출판 작가
“독립출판 작가로서 제가 하고 있는 콘텐츠에 대해서 대중분들에게 직접 설명을 드리고 같이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았던 것 같아요.”
주말을 맞아 나들이 나온 가족단위 관람객들이 몰리면서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큰 호응을 얻었습니다.
[int] 이승규 / 수원시 이의동
“많은 공연 등이 사실 서울 중심으로 되어 있는데 많은 시민분들이 즐길 수 있는 예술공연이라든지 아니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져서 주말을 참 즐겁고 행복하게 보낼 수 있는 좋은 장소이자 시간이 되는 것 같습니다.”
예술인에게 더 많은 전시와 공연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기회소득 예술인 페스티벌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예술인 간담회에서 나온 건의사항을 즉각 반영한 결과입니다.
대상은 올 7월과 8월에 기회소득을 받은 10개 시·군 예술인들
사전 신청을 통해 전시 78명과 공연 71팀, 체험 22팀이 참여했습니다.
이번 페스티벌은 10월21일부터 31일까지 수원과 의정부, 가평, 광주, 평택, 파주, 인천 등 9개 행사장에서 이어졌습니다.
[sync] 김동연 / 경기도지사
“더 많은 기회를 우리 예술인들께 또 그러므로 전체 도민께 드리도록 더욱더 노력하겠습니다. 예술인 여러분 힘내십시오.”
경기도는 예술의 가치를 알리고 문화예술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하기 위해 기회소득 예술인 페스티벌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GTV뉴스 최창순입니다.
1.기회소득 예술인 페스티벌/경기아트센터
2.심선영 박주희 / 밴드 ‘사라의공방’
3.기회소득 예술인 페스티벌/파주 아시아출판문화정보센터
4.한승목 정우균 도제현 / 밴드 ‘취향상점’
5.기회소득 예술인 페스티벌/의정부 미술도서관
6.기회소득 예술인 페스티벌/경기도 신청사
7.기회소득 예술인 페스티벌/평택 공간미학
8.이다솜 / 독립출판 작가
9.이승규 / 수원시 이의동
10.기회소득 예술인 전시·공연 기회 확대 위한 행사 개최
11.예술인 간담회서 한 도지사 약속 이행
12.10월21일~31일, 9개소 200여 명 예술인 전시·공연·체험행사 개최
13.김동연 / 경기도지사
14.영상취재 : 이효진 나인선 영상편집 : 윤지성 CG : 우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