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 화성 화재사고 종합대책 내놨다
[anchor]
화성 화재사고에 대한 경기도 차원의 종합대책이 나왔습니다. 피해자와 유족들에게 긴급생계안정비를 지원하고 도내 리튬 사업장을 전수 조사합니다. 또 산업 안전과 이주노동자 문제의 새 기준이 될 백서를 만들겠다고 밝혔습니다. 자세한 내용, 최창순 기자가 전합니다.
[rep]
경기도는 화성 화재사고 부상자를 포함한 피해자와 유족들에게 긴급생계안정비를 지원합니다.
사회적 참사에 긴급생계안정 지원을 하는 건 지방자치단체는 물론 중앙정부에서도 유례가 없던 일입니다.
[sync] 김동연 / 경기도지사
“경기도는 이번 사건이 비극적이고 이례적이라는 특수성을 고려하여 재난안전대책본부의 심의와 의결, 시민사회 전문가들과의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피해자와 유가족에게 긴급생계안정비 지원을 결정했습니다.”
사망자 가족에게는 석 달치의 긴급생계비 550만 원, 중상자에게는 두 달치 367만 원, 경상자에게는 한 달치 183만 원을 긴급 지원합니다.
경기도와 화성시는 사고 직후 피해자 통합지원센터를 통해 일대일 매칭 지원하고 있습니다.
숙박시설 227실을 제공했고 산재보험 신청과 법률상담 등 120건을 처리했습니다.
피해자와 유가족,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96건의 상담을 진행하고 사후 관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
경기도 내 리튬 취급 사업장을 대상으로 특별합동점검을 벌이고 있습니다.
중간점검 결과에 따르면 31곳 중 위험물 취급 위반과 유해화학물질 취급 위반 등 9건의 위반 사항이 확인됐습니다.
이 가운데 3건은 과태료 처분 조치했고 나머지는 검찰에 송치할 예정입니다.
또 소방·위험물 관리 위반 12건에 대해서는 시정 명령을 내렸습니다.
현장에서 인근 바다까지 이르는 3개 지점에서 중금속과 생태독성 등 30개 항목을 검사한 결과 이상 없고, 사고 후 일주일 동안의 대기질 측정에서도 유해물질은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sync] 김동연 / 경기도지사
“참사를 되풀이하지 않는, 예방할 수 있는 첫걸음은 사고의 철저한 진상규명과 반성, 성찰에서부터 시작합니다.”
경기도는 이번 사고를 계기로 산업 안전과 이주노동자 문제에 대한 백서를 만들 계획입니다.
재난 예방과 대응의 종합보고서인 셈입니다.
[stand-up] 경기도는 이번 사고의 부족한 점을 전부 찾아내 백서로 만들고 정부에는 제도 개선을, 국회에는 입법을 요청하는 등 적극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GTV뉴스 최창순입니다.
1.경기도, 화성 화재사고 피해자에 ‘긴급생계안정비’ 지원
2.김동연 / 경기도지사
3.사망자 가족 23명 ▶ 550만 원 중상자 2명 ▶ 367만 원 경상자 6명 ▶ 183만 원
4.숙박시설 227실 제공, 요청 사항 120건 지원
5.총 96건의 상담 진행…사후 관리 지속
6.리튬 사업장 31곳서 위반사항 ‘9건’
7.오염수 유출·대기오염 모니터링 ‘안전’
8.김동연 / 경기도지사
9.영상취재 : 나인선 영상편집 : 윤지성 CG : 김예린
10.최창순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