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청 자료 사진. ⓒ 경기도청
오는 4일 첫차부터 시내버스 총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경기도가 실제 파업에 대비한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이는 경기지역자동차노동조합 등 시내버스 노동조합이 임금협상 결렬 등의 이유에 따른 것입니다.
남상은 경기도 교통국장은 “노사 간의 합의가 조속하게 도출되길 바라며, 도는 임금협상 최종 조정 시한까지 최선을 다해 중재할 것”이라며 “만일 파업 실행 여부가 확정되면 언론과 누리소통망(SNS) 등을 통해 도민들에게 관련 내용을 알리고, 시군 및 유관기관과 함께 비상수송대책 추진에 만전을 기해 도민 교통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전했습니다.
2일 경기도에 따르면 현재 노조 측은 공공관리제(준공영제) 시급 12.32% 인상, 민영제 시급 21.86% 인상 등을 회사 측에 요구했으나 회사 측은 재정여건상 노조 측의 임금인상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노조는 3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최종 조정회의 결렬 시 4일 첫차부터 시내버스 총파업에 돌입할 예정으로, 경기도 전체 시내버스 1만 355대의 64%에 달하는 6천606대가 파업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도는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 시한 만료 전까지 노·사 대표를 설득하고 파업을 우려하는 여론 전달을 통해 파업 실행 직전까지 노·사간 합의를 유도한다는 방침입니다.
하지만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경기도는 시군 및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등 유관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파업기간 지하철역 등 탑승 거점 지정‥전세 및 관용버스 422대 투입 예정
도는 파업 기간 시·군별 버스 이용 수요가 많은 주요 지역과 지하철역을 탑승 거점으로 지정하고, 전세 및 관용버스 422대를 투입해 탑승 거점 간 순환 운행 방식으로 운영할 예정입니다.

경기 시내버스 자료 사진.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동시에 마을버스 운행 시간을 연장하고 예비 차량을 시내버스 파업노선에 투입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개인‧일반 택시 운행을 독려하고 버스정류장(버스베이) 주변에 택시가 집중 배차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입니다.
의정부‧김포‧용인 경전철도 운행 시간 연장 및 증회·증차를 시행하고, 수도권 전철의 운행 시간 연장 및 증회·증차가 이뤄질 수 있도록 서울교통공사 및 코레일과 협의할 예정입니다.
경기도-시군 누리집 등…파업상황 및 운송수단 알려드려요!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 누리집 갈무리. ⓒ 경기도청
또한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
(gbis.go.kr)과 도, 시·군 누리집 및 누리소통망(SNS), G버스 TV, 정류소 안내문 등을 통해 파업 상황을 신속히 전파하고 대체 운송수단 홍보도 병행합니다.
■ 경기도 시내버스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은? |
① 전세버스: 전면 파업시 시·군내 권역별 거점 지정 후에 거점 간 순환 수송합니다.
(※ 시·군별 버스노선을 참고하여 지역내 주요 거점 지정 후 임차버스(관용포함) 활용, 주요 거점간 순환 운행 방식으로 운영(지하철역이 있는 경우 지하철역으로 승객 유도))
② 마을버스: 예비차 확보 후, 시내버스 파업노선에 투입합니다.
③ 택시 운행: 버스정류장(버스베이) 주변 택시 집중 배차(택시부제 해제 중)합니다.
④ 경전철: 경전철(의정부, 용인, 김포) 증회 및 운행시간을 연장합니다.
(※ 서울 진입 지하철 증회 및 운행시간 연장은 필요시 道에서 협조요청(서울시, 코레일 등))
|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경기도청 #경기도_버스정책과 #경기도_버스정책팀 #시내버스 #총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 #시내버스노동조합 #총파업_예고 #파업대비비상수송대책본부 #24시간근무체계돌입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 #전세버스 #관용버스 #422대_투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