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는 경제의 시간 ⓒ 경기도청
고물가, 고환율, 고금리 등 내 월급만 빼고 다 오르는 요즘, 모르면 손해인 경기도 지원정책을 한데 모았습니다. 경기도민의 삶을 더 풍요롭게 만들기 위해 2025년 경기도가 쏩니다. |
‘기회는 준비된 자에게 온다’라는 말이 있죠. 성실하게 자신의 분야에 매진해 온 경기도민들이 더 많은 기회를 잡을 수 있도록, 경기도가 쏩니다.
장애인 기회소득, 농어민 기회소득, 체육인 기회소득 등 2025년 한층 더 커진 경기도 기회 정책을 소개합니다.
스스로 건강 지키는 장애인에게 월 10만 원 지원

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은 도내 정도가 심한 장애인이 스스로 건강을 지키는 활동을 수행할 시 월 10만 원의 기회소득을 지급하는 사업이다. ⓒ 경기도청
규칙적인 건강 프로그램 참여로 스스로 건강을 지키는 장애인. 경기도가 이들의 활동을 응원합니다.
경기도 장애인 기회소득은 도내 ‘정도가 심한 장애인’이 스마트워치를 활용해 주 2회 이상 가치활동을 인증하고, 전용앱을 통해 사회참여 활동사진을 게시하는 등 추가미션을 수행하면 월 10만 원의 기회소득을 지급하는 사업인데요.
이는 장애인이 다양한 활동을 통해 스스로 건강을 지킬 때 사회적 비용(의료비, 돌봄비용) 등이 감소하는 것을 가치 창출로 보는, 장애인 가치 활동에 대한 최초의 인정 사례입니다.
도는 지난해 8월 장애인 기회소득을 연 7.000명 대상, 월 5만 원에서 연 1만 명, 월 10만 원으로 혜택을 늘린 바 있는데요.
올해에도 장애인의 적극적인 활동을 응원하기 위해 가치활동 수행 장애인 1만 명에게 연간 최대 120만 원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도는 2025년 장애인 기회소득 사업 예비 신청자를 지난 1월 24일부터 모집 중인데요.
참여를 희망하는 자는 경기민원24 누리집과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예비 신청자는 결원 발생 시 사업량에 따라 선정여부가 결정될 예정입니다.
◼지원대상
도내 거주 중인 13~64세 장애인 중 가구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다음 ①~④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자
①장애인복지법상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
②현재 주민등록상 주소지가 경기도인 자
③13~64세(1961.1.1.~2012.12.31. 출생자)
④기준 중위소득 12% 이하(가구소득은 행복e음으로 확인된 공적자료를 기준으로 판정)
◼지원내용
참여자에게 부여된 과제* 인증 시 월 10만 원 지원
*참여자 과제
(건강활동 수행) 주 2회 1시간 이상 가치활동 인증, 월 1회 건강 상태 변화도 자가 등록, 월 1회 건강콘텐츠 수강
(사회활동 참여) 분기별 1회 협력기관 사업 참여, 월 1회 건강개선 활동 인증, 월 1회 사회참여 활동 인증
(성과관리 참여) 기회소득 사용계획 및 사용처 등록, 성과관리 연구조사 참여, 참여 수기 제출
◼지급방법
현금지급(신청자 본인 명의 계좌 입금/선정 월 기준 지급)
◼신청 방법
(온라인) 경기민원24(https://gg24.gg.go.kr)
(방문) 주민등록상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문의 장애인 기회소득 콜센터(1644-2122) |
24개 시군, 일반 농어민까지 지원…‘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경기도는 농어민에게 더 나은 기회를 제공하고 지속 가능한 농어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지원 사업을 추진한다. ⓒ 경기도청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은 우리 땅, 우리 바다를 가꾸고 일구는 사람들을 응원하는 경기도 기회 정책입니다.
지난해 처음 시행한 이 사업은 고령화와 인구유출 등 소멸 위기에 처한 농어업‧농어촌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미래에 투자하는 농어민의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마련됐는데요.
도내 청년농어민, 귀농어민, 환경농어업인에게 월 15만 원(연 180만 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하는 내용이었습니다.
지난해에는 용인시, 화성시, 시흥시, 파주시, 광주시, 이천시, 포천시, 양평군, 가평군 등 9개 시군에서 시행됐는데요.
올해에는 용인시, 화성시, 남양주시, 안산시, 평택시 등 24개 시군에서 농어민 기회소득 혜택을 만날 수 있습니다.
이와 함께 지원 대상도 기존 청년, 환경, 귀농어민은 물론이고 일반농어민까지 확대해 지원합니다.
◼지원대상
농어업경영체에 등록된 일반농어민, 청년농어민(50세 미만), 환경농어민(친환경, 동물복지, 명품수산), 귀농어민(5년 이내)
◼지원내용
자원봉사, 마을공동체 활동, 농어업 교육 참여 등 사회적 가치 창출 활동 증빙자료가 확인되면 연 60~180만 원을 월 5~15만 원씩 지역화폐로 지급
◼신청 방법
현재 거주하는 주민등록 소재 시군(읍면동)에 신청
(온라인) 경기도 농어민 기회소득 통합지원센터(https://farmbincome.gg.go.kr)
(방문)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지급절차
서류접수(농어민→읍면동)→신청자 자격 검증(심사위원회 심사 등)→지급(시군→농어민)
◼신청 기간
1차(상반기) 3~4월/2차(하반기) 9~10월 예정
◼참여 시군
용인시, 화성시, 남양주시, 안산시, 평택시, 시흥시, 파주시, 김포시, 의정부시, 광주시, 하남시, 광명시, 군포시, 양주시, 오산시, 이천시, 안성시, 의왕시, 포천시, 양평군, 여주시, 동두천시, 가평군, 연천군 등 총 24개 시군 |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올해 26개 시군에서 확대 지원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은 체육인이 체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그들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해 일정 소득을 보존해 주는 사업이다. ⓒ 경기도청
경기의 승패를 떠나 그 과정에서 체육인이 흘린 땀을 응원하는 정책이 있습니다. 민선 8기 경기도가 지난해 전국 최초로 추진한 ‘경기도 체육인 기회소득’입니다.
체육인 기회소득은 체육인이 체육활동에 전념할 수 있도록 그들의 사회적 가치를 인정해 일정 소득을 보존해 주는 사업인데요.
경기도에 주민등록을 둔 현역선수, 선수 출신 지도자, 심판 등 19세 이상 체육인 중 중위소득 120% 이하이면 2회에 걸쳐 연 150만 원의 기회소득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올해에는 체육인 기회소득 참여 시군이 기존 14개에서 26개 시군으로 확대됐는데요.
또 선수 경력의 대회 기준도 기존 전국 규모 이상 체육대회에서 경기도체육대회 규모 등으로, 대회 참가 경력도 2회에서 1회로 완화했습니다.
이에 따라 체육인 기회소득 지원 대상은 작년 2,700명에서 올해 6,580명으로 늘어날 전망입니다.
◼지원대상
도내 거주하는 현역선수, 지도자, 심판 등 19세 이상 6,582명
◼지원기준
개인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120% 이하인 체육인
◼지원금액/시기
연 150만 원/2회 분할 지급
◼지급방법
개인별 현금 지급
◼신청 방법
(온라인) 경기민원24(https://gg24.gg.go.kr)
(방문) 주소지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신청 기간
4~5월 예정
◼참여 시군
26개 시군(용인, 고양, 성남, 부천, 여주 5개 시군 미참여) |
지구를 위한 행동이 나의 보상으로!…‘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

경기도 기후행동 기회소득이 출시 8개월 만인 지난 14일 누적 가입자 수 100만 명을 달성했다. ⓒ 경기도청
7세 이상 경기도민이라면 누구나 받을 수 있는 기회소득도 있습니다. 바로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 노력을 지역화폐로 보상해 주는 ‘기후행동 기회소득’입니다.
이 사업은 일상생활 속에서 온실가스 감축활동인 ‘기후행동’에 대한 사회적 가치에 주목해 평가와 보상을 하는 정책인데요.
‘기후행동 기회소득’ 전용 앱(App)을 사용해 도민이 일상생활 속에서 실천한 탄소 감축 활동 실적을 기록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지역화폐 등으로 지급하는 시스템입니다.
도는 올해 ‘더 많아진 기후행동, 더 넓어진 기회소득+’이라는 주제로 기후행동 기회소득의 혜택을 더 확대했는데요.
인식제고, 에너지, 자원순환, 교통 등 4개 분야를 중심으로 ▲기후도민 인증 ▲환경교육 참여 ▲줍깅·플로깅 참여 ▲생물 다양성 탐사 ▲소통 ▲가정용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고효율 가전제품 구입 ▲PC절전 프로그램 사용 ▲텀블러 할인카페 찾기 ▲배달음식 다회용기 이용 ▲대중교통 이용 ▲걷기 ▲자전거 이용 등 13개 기후행동 실천활동을 우선 개시했습니다.
이와 함께 도는 연내에 기후퀴즈, 폐가전제품 재활용, 헌옷 재활용, 고품질 재활용품 배출, 에너지 절약 챌린지 등 5개의 활동을 추가로 개시할 예정인데요.
이를 통해 도민들이 일상생활에서 더 다양한 기후행동을 실천해 온실가스 감축 문화 인식을 높인다는 계획입니다.
◼참여대상
경기도 내 주민등록을 두고 있는 7세 이상 경기도민
◼참여방법
기후행동 기회소득 앱 설치→경기도민 인증 후 활동 참여
※본인 명의 휴대폰이 있는 경우만 가입 가능
※14세 미만의 경우 법정대리인 동의 필요
 기후행동 기회소득 참여방법. ⓒ 기후행동 기회소득 누리집
◼참여혜택
1인 6만 원 한도로 활동별 리워드 적립. 적립된 리워드는 ‘기후행동 기회소득’ 앱에 등록한 경기지역화폐를 통해 매월 자동 지급.
◼문의
기후행동 기회소득 누리집(www.ggaction.or.kr)
기후행동 기회소득 고객센터: 1877-0311(상담 시간: 평일 9:00~18:00) |
미취업 청년에 1,017종 어학·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취업을 준비 중인 경기도 청년이신가요? 그렇다면 이 기회를 놓치지 마세요.
경기도는 미취업 청년에게 어학·자격시험 응시료를 지원하는 ‘경기청년 역량강화 기회지원 사업’을 올해도 이어갑니다.
민선 8기 경기도 청년기회 패키지 중 하나인 이 사업은 자체사업을 추진하는 성남시를 제외한 30개 시군이 참여하는데요.
어학·자격시험 응시료에 대해 개인당 30만 원 범위에서 지난해 지원 여부, 응시 횟수, 신청 횟수 등의 제한 없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지원하는 분야는 어학시험 19종, 한국사, 국가기술자격 539종, 국가전문자격 360종, 공가공인민간자격 98종 등 총 1,017종으로, 작년 12월부터 올해 11월까지의 응시료를 지원합니다.
특히, 도는 올해 더 많은 청년이 비용 걱정 없이 자격시험을 준비할 수 있도록 국가전문자격 전 종목으로 지원을 확대했는데요.
그 결과, 작년 대비 108종을 추가해 지원합니다. 단, 국가전문자격 중 자동차운전면허는 1종 특수면허만 지원합니다.
국민취업제도를 비롯해 중앙정보, 타기관(지자체, 학교, 학원 등) 유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나, 고용노동부 ‘청년 국가기술자격시험 응시료 지원 사업’의 경우 본인부담액에 한해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
신청일 기준 경기도에 거주 중이며, 시군 조례에 따른 청년 연령에 해당하는 미취업 청년.
1년 미만 단기간노동자는 미취업자로 간주하며, 사업 신청일 당시 취업 여부와 관계없이 어학·자격시험 응시일 기준 미취업이면 지원 가능.
◼지원내용
1인당 최대 30만 원 응시료 지원(응시‧신청 횟수 제한 없음)
◼지원분야
어학시험 19종, 한국사, 국가기술자격 539종, 국가전문자격 360종, 공가공인민간자격 98종 등 총 1,017종의 작년 12월부터 올해 11월까지의 응시료
◼신청방법
일자리재단 통합접수시스템 ‘잡아바 어플라이’ 누리집(apply.jobaba.net)에서 온라인 신청
◼지급절차
신청 후 시군별 담당자 서류 검증 거쳐 지급
◼신청 기간
5~11월 |
이전 기사 보기 ☞
[2025년 경기도가 쏜다!]①더 넓어진 경기도 돌봄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기회 #기회정책 #경기도 기회소득 #경기민원24 #장애인기회소득 #농어민기회소득 #체육인기회소득 #기후행동기회소득 #기후행동 실천 #경기청년 #역량강화 #경기청년 역량강화 기회지원 사업 #청년기회 패키지 #응시료 #잡아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