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혁신적인 스마트 정책을 통해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행정 서비스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한 경기도 정책을 모았습니다. |

이제는 경제의 시간 ⓒ 경기도청
#도시락 생산 제조업체 ‘청미’는 도시락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반제품을 과다하게 생산하는 경우가 있었고, 생산된 박스의 무게를 일일이 재며 수기로 관리했는데,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종합지원사업을 통해 MES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생산·반제품 자동기록 및 실시간 생산 모니터링이 가능해졌습니다.
# 목공·가구 생산 제조업체 ‘한트베르커’는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통해 디지털트윈 기반 가공 시뮬레이션 및 다축 가공 시스템을 구축해 불량률을 크게 줄이고 정밀도를 높여 완성도 높은 가구를 제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인쇄회사 ‘삼덕 티엠피’는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종합지원사업을 통해 클라우드(SaaS) 인쇄물 색상 및 색차 관리시스템 상용화에 성공했습니다.
경기도와 경기테크노파크가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을 통한 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라는 비전을 갖고 추진 중인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종합지원사업이 도내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높이며 고용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도는 올해 사업을 더욱 확대해 스마트공장 제조혁신 전(全)주기 종합 지원에 나설 예정인데요.
배영상 경기도 디지털혁신과장은 “올해는 시군 사업 참여를 통해 지원을 더욱 확대하고 로봇기반 스마트공장 구축 등 새로운 유형도 도입했다”라며 “중소 제조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스마트공장의 보급을 넘어 제조혁신 생태계가 조성될 수 있도록 기업 및 경기테크노파크와 긴밀히 협력하겠다”라고 말했습니다.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종합지원사업이 도내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높이며 고용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 경기도청
혁신 기술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에 맞춤형 컨설팅 등 지원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종합지원사업은 스마트공장, 로봇, 공정 자동화 등 혁신 기술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에 맞춤형 컨설팅과 자금 지원을 제공합니다. 또한 도내 공급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스마트제조 공급기술 상용화도 지원합니다.
2024년부터는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디지털 전환 견학공장을 공모해 중소기업에 모범사례를 벤치마킹할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 밖에도 현장 맞춤형 인력을 양성하고 더 나아가 우수 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등 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제조 경쟁력 강화를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종합지원사업은 2019년부터 지난해까지 약 970여 개의 도내 중소, 중견 제조기업을 지원했습니다.
2023년의 사업 성과를 살펴보면 지원기업의 평균 매출 13.8% 증가, 수출 8.3% 상승, 고용은 8.7%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구축 성과로는 생산성 44.1% 향상, 불량률 13.4% 감소, 납기준수율은 18%가 상승해 뛰어난 효과를 나타냈습니다.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종합지원사업은 스마트공장 구축부터 해외진출까지 중소기업에 맞춤형 종합지원을 제공합니다. ⓒ 경기도청
시군과 협력 통해 올해 사업 예산 105억 원 확보
경기도가 2025년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을 통해 중소제조기업의 경쟁력 강화와 제조혁신 생태계 구축을 추진합니다.
도는 올해 151개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면서 컨설팅, 전문인력 양성, 해외진출까지 스마트공장 제조혁신 전(全)주기 종합 지원을 추진한다고 밝혔는데요.
▲스마트공장 구축 및 컨설팅 지원 확대 ▲디지털 전환 견학공장 운영 ▲디지털 제조혁신 전문인력 양성 ▲우수공급기술 상용화 지원 ▲해외진출 지원 등 도내 중소 제조기업 맞춤형 지원 등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도는 시군과 협력해 올해 사업 예산 105억 원을 확보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50% 증가한 수준으로, 지원 대상 기업도 77개에서 151개로 늘어날 예정입니다.
우선,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사업’은 시설과 솔루션을 도입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131개 사를 대상으로 최대 5천만 원을 지원하며, 안전, 에너지·탄소중립, 보안, 제조데이터 분야 기업 5개 사에 최대 8천만 원까지 지원할 예정입니다.
특히 올해는 미래산업 변화 대응과 제조환경 개선을 위해 제조로봇 지원 사업을 시범 실시하고 15개 사에 3천만 원을 지원합니다. 이 과정에서 전문 컨설팅기관의 제조혁신 전문가를 활용해 기업의 현장 애로사항 해결을 지원하는 ‘스마트공장 컨설팅 지원’도 실시합니다.
이와 함께 스마트공장 성공 사례를 선정해 구축 예정이나 고도화 추진 중인 기업이 현장 견학을 할 수 있도록 ‘디지털 전환 견학공장 운영’을 추진합니다. 총 5개 사를 선정해 견학공장 유지보수와 기능개선 운영비 2천만 원씩을 지원합니다.
또 ‘디지털 제조혁신 전문인력 양성’ 사업으로 중소·중견기업 임직원 대상 스마트공장 수준별 맞춤형 교육을 통해 350명의 디지털전환 전문인력을 양성합니다.
우수 공급기술의 실증과 보급을 지원하는 ‘공급기술 상용화 지원사업’은 과제당 최대 8천만 원을 지원하며, 유망 디지털 제조 기술 등을 보유한 중소기업이 해외시장에 진출할 수 있도록 해외진출 컨설팅과 로드쇼를 지원하는 ‘경기 디지털 제조 글로벌화 지원사업’도 추진합니다.
한편 스마트공장 구축 및 컨설팅, 디지털 전환 견학공장, 공급기술 상용화 지원 등 주요 사업의 신청 접수는 경기테크노파크를 통해 진행됩니다. 자세한 사항은 경기테크노파크 누리집
(www.gtp.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는 올해 151개의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하면서 컨설팅, 전문인력 양성, 해외진출까지 스마트공장 제조혁신 전(全)주기 종합 지원을 추진합니다. ⓒ 경기도청
‘경기도 중소 제조기업 디지털 제조혁신 전략 및 지원사업 순회 설명회’ 예정
경기도는 오는 3월 4일부터 7일까지 4일간 ‘경기도 중소 제조기업 디지털 제조혁신 전략 및 지원사업 순회 설명회’를 진행합니다.
이번 순회 설명회는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 제조혁신을 위한 스마트공장 구축 전략과 사례를 소개하고 2025년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종합지원 사업을 안내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설명회는 날짜별로 경기테크노파크 다목적실(4일), 화성시민대학 계단강의실(5일), 파주문화재단 소공연장(6일), 경기시청자미디어센터 다목적홀(7일)에서 오후 1시 30분부터 4시까지 진행됩니다.
설명회에서는 스마트공장 기초단계 구축 전략에 대한 강의를 통해 ▴스마트공장 구축의 필요성과 핵심 개념 ▴단계별 스마트공장 구축 전략 ▴스마트공장 공급기업과의 협업 노하우등에 대해 설명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중소 제조기업의 스마트공장 구축 사례를 함께 살펴보며 ▴스마트공장 구축 배경 및 지원 내용 ▴스마트공장 구축 결과 및 효과 ▴구축 과정의 애로사항과 극복사례 및 성공요인 ▴향후 고도화 계획 등을 공유합니다.
이 밖에도 경기테크노파크 강기찬 책임연구원이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종합지원 사업을 안내하고, 참석자 간 교류의 장도 펼쳐질 예정입니다.
더욱 자세한 사항은 경기테크노파크 경기스마트제조혁신센터(031-500-3658, 3651)로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경기도는 오는 3월 4일부터 7일까지 4일간 ‘경기도 중소 제조기업 디지털 제조혁신 전략 및 지원사업 순회 설명회’를 열고, 2025년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종합지원 사업을 안내합니다. ⓒ 경기도청
이전기사 보러가기☞
[스마트 in 경기] ① CCTV 17만여 대 활용한 경기도 360° 스마트 영상센터 구축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스마트공장 #종합지원 #제조혁신 #중소제조기업 #경쟁력강화 #경기테크노파크 #로봇 #공정자동화 #맞춤형컨설팅 #자금지원 #상용화 #모범사례 #디지털전환 #매출 #고용 #생산성 #불량률 #납기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