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는 경제의 시간’ ⓒ 경기도청
외국인이 반한 경기도의 관광 자원을 소개합니다. 일년 365일, 언제나 핫한 곳입니다. 자, 바로 떠나 보실까요?
|
국내 최대 규모의 행궁‥수원 화성행궁

수원 화성행궁 자료 사진. ⓒ 대한민국 구석구석
수원 화성과 함께 빼놓을 수 없는 건축물의 백미는 수원 화성행궁(사적 제478호)입니다. 휴일이 아니어도 많은 이들이 찾는 관광 명소로, 인근 행리단길이 입소문 나면서 주말이면 관광객으로 붐비는 곳입니다.
화성행궁은 임금님의 행차 시 거처하던 임시 궁궐로, 모두 576칸이나 되는 국내 최대의 규모로서, 아름다움과 웅장함이 깃들어 있습니다.
정조는 1789년 10월, 아버지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옮긴 이후 1800년(정조 24년) 1월까지 12년간 13차례에 걸쳐 수원행차를 거행했으며, 이때마다 화성행궁에 머물렀습니다.
1795년에는 화성행궁 봉수당에서 어머니 혜경궁 홍씨의 환갑을 기념하는 진찬연을 여는 등 여러 가지 행사를 거행했습니다.
화성행궁은 평상시에는 화성유수부 유수가 집무하는 관청으로도 활용됐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후 갖가지 용도의 건물로 이용되면서, 그 모습을 잃게 됐습니다. 화성축성 200주년인 1996년부터 복원 공사를 시작해 2003년 일반인에게 공개했습니다.
한편, 화성행궁은 팔달산 정상의 서장대 아래의 산기슭을 중심으로 경사지가 펼쳐지고, 시가지가 시작되는 곳의 평지에 위치해 있다. 구조는 앞쪽으로 긴 장방형 구조입니다.
정문인 ‘신풍루’ 양쪽으로 남군영과 북군영이 있으며, ‘신풍루’로 들어서면 왼쪽으로는 ‘서리청’과 ‘비장청’, 오른쪽으로는 ‘집사청’이 위치해 있습니다. ‘서리청’과 ‘비장청’, ‘집사청’을 좌우로 지나 마당을 가로지르면 ‘좌익문’이 있고, 이를 통과하면 ‘중앙문’이 나옵니다.
이 ‘중앙문’을 지나면 화성행궁의 정전인 ‘봉수당’이 나옵니다. 화성행궁과 따로이 떨어져 있는 ‘화령전’은 정조의 위패를 모시고 있습니다.
주소: 경기 수원시 팔달구 정조로 825
문의 및 안내: 031-228-4480
이용 시간: 하절기 (3월~10일) 09:00~18:00 / 동절기(11월~2월) 09:00~17:00
문화재와 함께 걷는 성곽길‥광주 남한산성

광주 남한산성 자료 사진. ⓒ 대한민국 구석구석
과거 한양을 지키던 4대 요새 중 하나인 남한산성을 품은, ‘남한산성 도립공원’이 있습니다.
조선시대 북쪽의 개성, 남쪽의 수원, 서쪽의 강화, 동쪽의 광주였습니다. 동쪽의 광주에는 남한산성이 있었습니다.
남한산성은 서울에서 동남쪽으로 24km, 성남시에서 북동쪽으로 6km 떨어져 있는 남한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길이는 총 12.4km(본성 8.9km, 외성 3.2km, 신남 산성 0.2km), 높이는 7.3m입니다.
원래 2천여 년 전, 고구려 동명왕의 아들 백제의 시조 온조의 왕성이었다는 기록이 있고, 나당전쟁이 한창이던 신라 문무왕 13년(673)에 한산주에 쌓은 주장성이라는 기록도 있습니다.
그 옛터를 활용하여 후대에도 여러 번 고쳐 쌓다가, 조선조 광해군 때(1621) 본격적으로 축성했다고 합니다. 석축으로 쌓은 남한산성의 둘레는 약 12km. 자연석을 써 큰 돌을 아래로, 작은 돌을 위로 쌓았다고 합니다. 동서남북에 각각 4개의 문과 문루, 16개의 암문을 내었으며 동서남북 4곳에 장대가 있었습니다. 성안에는 수어청을 두고 관아와 창고, 행궁을 건립했습니다.
유사시에 거처할 행궁은 상궐 73칸, 하궐 154칸, 좌전 26칸으로, 모두 252칸을 지었습니다. 80개의 우물, 45개의 샘을 만들고 광주읍의 행정처도 산성 안으로 옮겼습니다. 이쯤 되면 남한산성의 중요성과 성안이 유치 가능 인구도 짐작해 볼 수 있을 텐데요.
산성이 축조되고 처음으로 시행(인조 17년, 1639)된 기동 훈련에 참가한 인원만 해도 12,700명이었습니다. 그러나 지금 성내에 남아 있는 건물은 불과 몇 안 됩니다. 동·남문과 서장대, 현절사, 연무관, 장경사, 지수당, 영월정, 침괘정, 숭렬전 이서 장군사당, 보, 루, 돈대 등이 남아있습니다. 그중 4대 문과 수어장대, 서문 중간쯤의 일부 성곽은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다. 남한산성은 사적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주소: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731
문의 및 안내: 031-746-1088
이용 시간: [남한산성 행궁] 하절기(4월~10월) 10:00~18:00 / 동절기(11월~3월) 10:00~17:00
폐광의 기적을 만들다‥광명 광명동굴

광명시 광명동굴 자료 사진. ⓒ 대한민국 구석구석
1912년 일제가 자원수탈을 목적으로 개발을 시작한 광명동굴(구, 시흥광산)은 일제강점기 징용과 수탈의 현장이자 해방 후 근대화·산업화의 흔적을 고스란히 간직한 산업 유산입니다.
지난 1972년 폐광된 후 40여 년간 새우젓 창고로 쓰이며 잠들어 있던 광명동굴을 2011년 광명시가 매입하여 역사·문화 관광명소로 탈바꿈시켰습니다.
광명동굴은 산업유산으로서의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결합된 대한민국 최고의 동굴테마파크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연간 100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세계가 놀란 폐광의 기적을 이루었습니다.
한편, 광명동굴은 현재 동굴과 문화예술 콘텐츠를 결합하여 창조 문화를 위한 공간이 됐습니다. 동굴 예술의 전당을 시작으로 동굴 곳곳은 많은 예술가들과의 협업을 통한 작품을 감상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산업현장으로만 여겨지던 갱도는 와인 동굴로 탈바꿈했습니다.
주소: 경기도 광명시 가학로85번길 142
문의 및 안내: 070-4277-8902
이용 시간: 09:00~18:00 / 매월 월요일 정기휴무
이전 기사 보기
[외국인이 반한 경기도 여행지] ① 과거와 현재, 미래 체험까지 경기도에서!
[외국인이 반한 경기도 여행지] ② 안보관광부터 예술마을까지 즐길 수 있는 경기도
[외국인이 반한 경기도 여행지] ③ ‘작은프랑스’ 탐방부터 ‘TV 명소’ 순례까지 모두 경기도!
[외국인이 반한 경기도 여행지] ④ 경기도에서 즐겨요‥국내 최대 ‘컨벤션 센터’부터 대한민국 최초 ‘김 전시관’까지!
[외국인이 반한 경기도 여행지] ⑤ 힐링이 필요한 순간‥경기도 포천으로 오세요!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경기관광 #관광로드 #경기 #외국인이 반한 #경기도 여행지 #수원 #화성행궁 #광주시 #남한산성 도립공원 #광명시 #광명동굴 #한국 대표 관광지 #나들이 코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