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제는 경제의 시간. ⓒ 경기도청
경기도 내 학생들의 성장을 응원하는 학습 환경 조성을 위해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이 손을 맞잡았습니다.
중·고 신입생 교복 지원부터 지역교육협력 플랫폼, 친환경 운동장 조성, 통학로 교통안전지도까지.
도비 395억 원을 투입해 추진하는 경기도와 경기도교육청의 ‘2025년 교육협력사업’ 4가지를 소개합니다.
중‧고교 신입생 1인당 40만 원 상당 단체복 구매비 지원

‘중·고교 신입생 교복(생활복, 체육복) 통합지원’ 사업은 도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신입생에게 1인당 40만 원 상당의 단체복 구매비를 지원하는 내용이다. ⓒ 경기도청
새로운 학교에서 새로운 시작을 준비하는 신입생들. 이들이 등교 전 꼭 준비해야 하는 게 있는데요. 바로 교복입니다.
도와 도교육청이 첫 번째 교육협력사업은 도내 신입생들의 새로운 시작을 응원하는 ‘중·고교 신입생 교복(생활복, 체육복) 통합지원’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도내 중학교와 고등학교에 입학하는 신입생 약 26만 8,000명에게 1인당 40만 원 상당의 단체복 구매비를 지원하는 내용인데요.
도는 2019년 중학교 신입생 교복 지원을 시작으로 중·고등학교 신입생 교복, 단체복 미착용학교 학생 일상복 구매비 지원 등 수혜 대상을 지속 확대해 가고 있습니다.
■ 중·고교 신입생 교복(생활복, 체육복) 통합지원 사업 |
▪지원대상:경기도 내 중‧고등학교와 이에 준하는 과정에 재학하는 1학년
▪지원내용:
-경기도 내 중‧고등학교 신입생 대상 교복 지원(타 시도 및 국외에서 전입하는 1학년생 포함)
-‘지방계약법’에 따라 교복을 학교주관 구매해 학생에게 지급(학생 1인당 40만 원)
-교복 미착용교 신입생에게 일상복(의류) 구매비 지급(학생 1인당 40만 원) |
다양한 학습 기회 제공 위해 ‘지역교육협력 플랫폼 운영’
무한한 배움의 길을 지원합니다. 도와 도교육청의 두 번째 교육협력사업은 바로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지역교육협력 플랫폼 운영’ 사업입니다.
이 사업은 지역 내 인적·물적 교육자원을 활용해 학교 밖 교육활동 등 다양한 학습 기회를 지원하는 내용인데요.
변화하는 미래 사회에 맞는 지역 교육 플랫폼 구축으로 지역 교육력을 높이는 동시에 학습 경계 확장으로 학생 개인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맞춤 교육을 실현하는 게 주목적입니다.
구체적으로 ▲학생이 직접 주제를 정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학생기획형 프로그램’ ▲대학과 연계해 진로 탐색과 전문 학습을 돕는 ‘대학연계형 프로그램’ ▲지역 기관이 참여해 학생 맞춤형 교육을 제공하는 ‘지역기관 공헌 프로그램’ 등 총 2,500개의 다양한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 지역교육협력플랫폼(경기공유학교 운영) 사업 |
▪지원대상:도내 학생, 학교 밖 청소년, 학부모, 학교 등
▪선정방법:학생(학교)의 수요를 기반으로 한 지역맞춤형 프로그램 선정
▪지원내용:지역 맞춤형 공유학교 프로그램 등 지역 자원을 활용한 다양한 학습 기회 제공 |
친환경 운동장 조성…작년보다 예산 2배 확대한 75억 원 지원

‘친환경 운동장 조성’ 사업은 유해 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학교 운동장과 내구연한(8년)이 지나 낡은 인조잔디·탄성포장재 운동장을 친환경 운동장으로 재조성하는 사업이다. ⓒ 경기뉴스광장
학생들이 마음껏 뛰어놀 수 있도록, 도와 도교육청은 환경친화적이고 안전한 운동장을 지원합니다.
‘친환경 운동장 조성’ 사업은 유해 물질이 기준치를 초과하는 학교 운동장과 내구연한(8년)이 지나 낡은 인조잔디·탄성포장재 운동장을 친환경 운동장으로 재조성하는 내용인데요.
다양한 소재의 학교 운동장을 조성해 학생 체육활동 증진뿐 아니라 지역사회와 함께 활용해 지역 주민과의 소통, 신체활동 문화 공유 공간으로 활용하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올해는 작년(37억 5,000만 원)보다 예산을 두 배 확대해 75억 원을 편성했는데요. 이에 총 62개 학교에 학생들이 안심하고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계획입니다.
■ 친환경 운동장 조성 사업 |
▪지원대상:유해물질 초과 검출 또는 노후한 인조잔디, 탄성포장재 운동장, 친환경 운동장 신규 조성 희망교
▪선정방법:학교 운동장 유해성 검사 실시 후 교육지원청별 수요조사 및 선정위원회를 통해 선정
▪지원내용:유해물질 초과 검출 또는 노후한 인조잔디, 탄성포장재 운동장 재조성 또는 친환경 운동장으로 신규 조성 지원 |
850개 초등학교에 ‘통학로 교통안전지도’ 사업 추진

‘통학로 교통안전지도’ 사업은 지원 대상인 850개 초등학교에 교통안전지도 물품 구입비와 교통지도 협의회 운영비 100만 원을 지원하는 내용이다. ⓒ 경기뉴스광장
어린이보호구역(스쿨존) 사고를 강하게 처벌하고 안전시설 설치를 의무화한 일명 ‘민식이법’이 시행 중이지만, 여전히 스쿨존 내 교통사고는 이어지는 상황입니다.
이에 도와 도교육청은 등하굣길 안전 강화를 위한 ‘통학로 교통안전지도’ 사업을 추진합니다.
이 사업은 다양한 학교 주변 교통사고 예방 활동을 지원해 학생 교통사고를 예방하고 학생과 학부모가 안심할 수 있는 안전한 통학환경을 조성하는 게 주목적인데요.
지원 대상인 850개 초등학교에 경광봉이나 조끼, 신호기 등 교통안전지도 물품 구입비와 교통지도 협의회 운영비 100만 원을 지원합니다.
■ 통학로 교통안전지도 사업 |
▪지원대상:교통안전지도 활동 조직(학부모 봉사, 지자체 공공일자리 등) 운영 초등학교
▪선정방법:관내 초등학교 대상 교통지도 조직 운영 예정 현황 및 수요 조사 후 대상교 선정 ※수요 과다 시 지자체 등 교통지도 전담인력 미배치 학교 등 우선 선정
▪지원내용:교통지도를 위한 물품구입비 및 운영비 지원(학교당 100만 원)
-피복, 조끼, 우비, 신호기, 경광봉 등 교통지도 물품
-교통지도 활동 관련 협의회 및 교통안전 캠페인 등 운영 |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경기도교육청 #2025년 교육협력사업 #학습환경 #중·고 신입생 교복 지원 #40만 원 #단체복 구매비 #지역교육협력 플랫폼 #경기공유학교 #친환경 운동장 조성 #통학로 교통안전지도 #어린이보호구역 #스쿨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