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혁신적인 스마트 정책을 통해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효율적인 행정 서비스와 지속 가능한 발전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들은 더 나은 미래를 만드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스마트’한 경기도 정책을 모았습니다. |

이제는 경제의 시간 ⓒ 경기도청
경기도는 스마트 정책은 농업분야에서도 펼쳐지고 있는데요, 비닐하우스·유리온실·축사 등에 ICT를 접목하여 원격·자동으로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적정하게 유지·관리할 수 있는 ‘스마트팜’이 바로 그것입니다.
스마트팜은 작물 생육정보와 환경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최적 생육환경을 조성해, 노동력·에너지·양분 등을 종전보다 덜 투입하고도 농산물의 생산성과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스마트팜이 보편적으로 확산되면 노동·에너지 등 투입 요소의 최적 사용을 통해 우리 농업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고, 미래성장산업으로 견인할 수 있습니다. ⓒ 경기뉴스광장
스마트팜 현장지원센터, 현장 밀착형 지원으로 생산성 개선
경기도농업기술원은 스마트팜 현장지원센터 운영을 통해 스마트팜 설치 농가의 현장교육, 컨설팅, 사후관리 등 현장 밀착형 지원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경기도는 정보통신기술을 농장에 적용한 스마트팜 농가에서 발생하는 농장 환경과 작물 생육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분석하는 ‘스마트팜정보시스템’을 구축했는데요. 빅데이터 기반의 영농 컨설팅 체계를 마련해 농장의 생산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ICT(정보통신기술, Information & Communications Technology)를 접목한 스마트팜이 보편적으로 확산되면 노동·에너지 등 투입 요소의 최적 사용을 통해 우리 농업의 경쟁력을 한층 높이고, 미래성장산업으로 견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단순한 노동력 절감 차원을 넘어서 농작업의 시간적·공간적 구속으로부터 자유로워져 여유시간도 늘고, 삶의 질도 개선되어 우수 신규 인력의 농촌 유입 가능성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스마트팜은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완화해 농업인의 삶의 질 개선을 도울 전망입니다. 또한 우수 신규 인력의 농촌 유입 가능성도 증가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경기뉴스광장
스마트팜 ICT 융복합 확산사업, 4개 부문으로 추진
올해 스마트팜 ICT 융복합 확산사업은 ▲시설원예현대화 ▲시설보급 ▲에너지절감시설 ▲스마트팜 온실신축 등 4개 부문으로 추진됩니다.
먼저 시설원예현대화 부문은 시설원예 작물의 품질개선 및 안정적인 수출기반 구축을 위한 것으로 11개 시군(고양, 광주, 안성, 양주, 여주, 연천, 용인, 이천, 파주, 평택, 화성), 68농가(24ha)에서 진행됩니다.
구체적으로는 온실 내 시설 현대화를 위해 관수관비(양액재배시설, 양액재활용시설, 점적관수, 자동관수 등), 환경관리(자동개폐기, 환풍기, 순환팬, 제습기, 차광․보광시설, 온습도조절기), 기타(무인방제기, 전동운반기, 레일카, 파쇄기) 스마트팜 기반 구축을 지원합니다.
시설보급 부문은 7개 시군(고양, 남양주, 양주, 양평, 여주, 이천, 파주) 29농가(7.9ha)에 ICT융복합 환경제어시스템을 구축해 생산성 향상 및 경쟁력 강화를 지원합니다.
외부 온도‧풍속 등과 시설 내부 모니터링을 위한 센서장비, 영상모니터링 장비를 비롯해 환풍기, 천창, 보온커튼, 광량 및 양액 등 제어 장비를 지원합니다.
에너지절감시설 부문은 유류 및 농자재 가격상승으로 인한 시설원예 농가의 경영비 부담을 줄이고 농가경영 안정을 돕기 위해 추진됩니다.
이를 위해 16개 시·군(고양, 가평, 광주, 동두천, 안성, 양주, 양평, 여주, 연천, 용인, 이천, 파주, 평택, 포천, 하남, 화성), 시설원예(채소·화훼·버섯류) 56농가(19.6ha)에 다겹보온커튼, 순환식수막재배시설, 자동보온덮개 등 에너지절감 시설을 지원합니다.
스마트팜 온실신축 부문은 환경제어가 가능한 스마트팜 보급을 통해 소비자 수요에 부합하는 안전한 농산물의 안정적 생산·공급기반 구축하기 위해 고양시, 남양주시 2농가(0.6ha)에서 진행됩니다.
스마트팜 온실이 지원되면 외부 환경 변화에 대응해 환경제어가 가능해져 더욱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전기사 보러가기☞
[스마트 in 경기] ① CCTV 17만여 대 활용한 경기도 360° 스마트 영상센터 구축
[스마트 in 경기] ② 경기도형 스마트공장 종합지원사업
[스마트 in 경기] ③ 스마트에너지아파트 지원사업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경기도농업 #스마트팜 #비닐하우스 #유리온실 #축사 #원격 #가축 #생육환경 #생육정보 #환경정보 #데이터 #생산성 #스마트팜현장지원센터 #미래성장산업 #스마트팜ICT융복합확산사업 #시설원예현대화 #시설보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