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미술관, 2025 경기아트프로젝트 ‘한국현대목판화 70년:판版을 뒤집다’ 개최
한국현대목판화 70년 역사를 조명하고자 4개의 소주제로 구성

이제는 경제의 시간. ⓒ 경기도청

경기도미술관은 3월 20일부터 6월 29일까지 2025 경기아트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한국현대목판화 70년:판版을 뒤집다’를 개최한다.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경기도미술관이 2025 경기아트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한국현대목판화 70년:판版을 뒤집다’를 개최합니다.
3월 20일부터 6월 29일까지 진행되는 이번 전시는 1950년대부터 2020년대까지 한국현대목판화 70년의 역사를 조명하고자 기획된 전시입니다.
판화 중에서 가장 유구한 역사를 지닌 목판화는 날카로운 조각 도구를 활용해 나뭇결의 느낌을 극대화하여 판각하는 기법을 사용합니다.
근대부터 시작된 목판화는 1950년대에 들어서 본격적인 현대미술로서의 초석을 다지게 됐는데요. 한국현대목판화의 맹아기라 할 수 있는 1950년대~1960년대를 거쳐, 1970년대부터 목판화는 ‘현대미술’의 일부로 인식되고 분류되면서 정착됐습니다.
특히 1980년대부터는 ‘민중미술’의 일환으로 목판화가 크게 활성화됐고, 많은 대중에게 정치적·사회적인 시의성을 담으면서 목판화 특유의 미감과 감성을 선보였습니다. 이후 1990년대부터 현재까지 한국현대목판화는 작가 개개인의 특징을 담아 내되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보여주는 작품들이 등장했습니다.

이번 전시에서는 한국현대목판화를 맹아기(1950~1960년대), 정착기(1960~1970년대), 활황기(1980년대), 실존기(1990~2020년대) 등 시대별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만든 4개의 소주제를 만나볼 수 있다.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때문에 이번 전시에서는 한국현대목판화를 맹아기(1950~1960년대), 정착기(1960~1970년대), 활황기(1980년대), 실존기(1990~2020년대) 등 시대별로 구분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만든 4개의 소주제를 만나볼 수 있습니다. 1부: 자연과 서정성을 시작으로 ▲2부: 실험과 현대성 ▲3부 서사와 비판성 ▲4부: 서사와 실존성 등으로 진행되며 목판화가 67인의 작품 300여 점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전시와 관련해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미술관 공식누리집
(https://gmoma.ggcf.kr/)을 참고하면 됩니다.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경기도미술관 #한국현대목판화_70년_판版을 뒤집다 #목판화 #현대미술 #민중미술 #맹아기 #정착기 #활황기 #실존기 #자연과서정성 #실험과현대성 #서사와비판성 #서사와실존성 #목판화가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