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평택시 안성천 발원지에서 양성교를 지나 동삭지구까지 이어지는 ‘평택 바람길숲’이 2025년 산림청이 선정한 ‘산책하기 좋은 도시숲 10선’에 이름을 올렸다. ⓒ경기도청
경기도형 도시숲 모델, 여름철 대표 산책 명소로 등극
현대인들이 건강한 삶을 누리기 위해서 일과 휴식의 조화가 필요합니다.
여름 무더위를 피하는 것은 물론 사계절 도민들의 힐링공간인 도시숲들이 새롭게 각광을 받고 있는데요.
평택시 안성천 발원지에서 양성교를 지나 동삭지구까지 이어지는 ‘평택 바람길숲’이 2025년 산림청이 선정한 ‘산책하기 좋은 도시숲 10선’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산림청이 지난 1일 공개한 도시숲 10선은 본격적인 여름철 무더위를 앞두고 시민이 나무 그늘 아래에서 더위를 피하고 쾌적하게 걷기 좋은 도시숲인데요.
지난해 선정한 ‘아름다운 도시숲 50선’ 가운데 접근성과 녹음도, 규모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10곳을 추렸는데 경기도에서는 ‘평택 바람길숲’이 유일합니다.
‘평택 바람길숲’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에 걸쳐 조성된 도심형 녹지축으로 통복천, 국도 1호선․38호선, 안성천 등 4개 주요 하천과 도로축을 따라 조성됐습니다.
전체 길이는 총 70km에 달하며, 내부에는 테마형 숲길과 맨발 걷기길, 쉼터, 야간 조명등이 갖춰져 시민의 건강과 휴식을 위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한편 도시숲은 여름철 이산화탄소 흡수와 수분 증발을 통해 열기를 낮추는 기능을 하며, 평균 기온을 3~7℃가량 낮추는 ‘천연 그날 쉼터’로 미세먼지 저감과 도시 열섬 완화 기능 등을 수행하는 등 시민들의 건강과 휴식, 기후위기 대응에 기여하는 쾌적한 생활 녹지 공간의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경기도는 도시공원 분야 국도비 보조사업으로 도내 31개 시군에 총 675억 원을 투입해 도시숲 조성 및 정비 사업을 활발히 추진 중인데요, 이는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도민에게 쾌적한 생활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녹색 기반시설(인프라) 확대 정책 중 하나입니다.
이정수 경기도 정원산업과장은 “평택 바람길숲은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도시형 녹색 인프라의 대표 모델”이라며 “앞으로도 도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 건강을 지킬 수 있도록 도시숲 조성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경기#경기도#경기뉴스광장#Gyeonggi#Gyeonggido#평택#바람길숲#산책명소#경기도형도시숲#기후변화대응형#아름다운도시숲50#산림청#도시숲#통복천#안성천#도시형녹색인프라#천연그날쉼터#정원산업과#테마형숲길#맨발걷기길#도시열섬완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