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취약계층을 위한 냉방비 긴급 지원 ⓒ 경기도
기록적인 폭염이 수도권을 강타하면서, 더위에 특히 취약한 계층을 위한 지원이 절실해졌습니다. 이에
경기도는 지난 7월 11일, 폭염 긴급대책의 일환으로 총 215억 원 규모의 냉방비를 긴급 투입하는 안전취약계층 냉방비 지원사업을 전액 도비로 시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지원은 더위 속에서도 전기료 부담으로 냉방기를 마음 놓고 켜지 못하는 가구, 그리고 경로당 등 무더위쉼터를 이용하는 도민들을 실질적으로 돕기 위한 조치입니다.
■ 온열질환자 387명 발생… 폭염 속 도민 건강 빨간불
경기도에 따르면 5월 중순부터 7월 22일까지 도내에서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총 387명으로, 이 중 1명은 사망에 이르렀고, 절반 이상이 50대 이상 고령층이었습니다.
폭염 피해가 실제로 통계로도 확인되자, 경기도는 긴급 예산 편성과 함께
취약계층에 대한 신속하고 직관적인 냉방비 지원에 나섰습니다.

경기도청 전경 ⓒ 경기도
■ 기초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39만 가구에 1가구당 5만 원 지급
지원 대상은
경기도에 주소를 둔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33만 8,630가구와 차상위계층 5만 4,615가구, 총 393,245가구입니다.
이들에게는
가구당 5만 원의 냉방비가 7월 28일부터 순차적으로 지급됩니다.
계좌 등록 여부에 따라 신청 방식이 달라지며, 일반 계좌가 등록된 가구는 별도 신청 없이 자동 지급되고, 압류방지 계좌 이용자나 미등록자는 주민센터에 방문하거나 유선으로 신청해야 합니다.
이번 사업에 투입되는 금액은 총 215억 원으로, 경기도 재해구호기금에서 200억 원, 경기도 예비비에서 15억 원을 긴급 편성하여 지원합니다.
단, 보장시설에 입소해 있거나
기존 장애인 냉방비 수급 가구(2만 3,986가구)는 중복지원을 방지하기 위해 이번 지원에서는 제외됩니다.
■ 무더위쉼터 8,718곳에도 최대 3개월 냉방비 지원
냉방비 지원은 개인 가구뿐 아니라 도내 무더위쉼터에도 이뤄집니다.
무더위쉼터 중
경로당 8,668곳은 현재 지원받고 있는 7~8월 냉방비에 9월분 냉방비 16만 5,000원(14억 3,000만 원)이 추가 지원되고,
마을·복지회관 50개소는 7월부터 9월까지 3개월분 냉방비 2,500만 원이 지원됩니다.
무더위쉼터 냉방비는
7월 30일부터 시군을 통해 교부됩니다.

경기도청 전경 ⓒ 경기도
■ 8월 말까지 전액 지원… 취약계층 위한 실질적 복지 실현
경기도는 이번 사업이 단순한 복지 행정을 넘어,
폭염 속 생명을 지키는 실효성 있는 대응책이 되도록 8월 말까지 전액 도비로 지원한다는 방침입니다.
이를 위해 지난 7월 21일에는 ‘도-시군 담당과장 회의’를 열고 지침을 공유했으며, 실무자 간 소통도 상시 진행되고 있습니다.
김훈 경기도 복지국장은
“이번 냉방비 지원은 단순한 금전 지원이 아닌, 취약계층의 생명을 보호하는 최소한의 안전망이 되길 바란다”며
“기후위기 시대를 살아가는 도민 모두가 건강한 여름을 보낼 수 있도록 지속적인 대응 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냉방비 지원은 기후 재난 시대, 경기도가 도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를 보여주는 대표적 사례입니다.
자세한 신청 문의는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