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일이 먼저 시작되는 경기. ⓒ 경기도청
8월 15일, 광복절을 맞아 역사적인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경기도 여행지를 소개합니다.
파주 한국근현대사박물관, 안성 3·1운동 기념관, 양평 몽양 여운형 기념관, 화성 독립운동기념관, 안산 최용신기념관, 김포 독립운동기념관 등까지. 우리 땅 곳곳에 살아 숨 쉬는 독립운동의 발자취와 근현대사를 따라가 보는 건 어떨까요?
아이와 함께 방문해 뜻깊은 시간을 보내기 좋은 여섯 곳을 엄선했습니다.
파주 한국근현대사박물관…역사와 추억을 함께 만날 수 있는 곳

파주 한국근현대사박물관. ⓒ 대한민국 구석구석
파주 한국근현대사박물관은 한국의 50~70년대 생활사를 온몸으로 체험하며, 의미 있는 추억을 남길 수 있는 테마 체험 전시관입니다.
입구부터 과거의 냄새를 물씬 풍기는 한국근현대사박물관은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층별로 각기 다른 시대의 한 마을을 통째로 재현한 한국 최초의 근현대사 테마 박물관입니다.
일본이 통치권을 앗아간 1910년부터 40년대, 뼈아픈 6·25전쟁이 있던 1950년대, ‘잘 살아보자’는 일념 하나로 온 국민이 똘똘 뭉쳤던 1970~80년대까지, 오래도록 그 시절이 잊히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2005년에 30년 동안 모은 각종 시각유물자료 7만여 점을 헤이리마을로 옮겼습니다.
주소: 경기도 경기 파주시 탄현면 헤이리마을길 59-85, 1층 (법흥리)
문의: 0507-1419-1156
안성 3·1운동기념관…순국선열들의 희생정신과 독립정신을 기리기 위한 곳

안성 3·1운동기념관. ⓒ 대한민국 구석구석
안성 3·1운동기념관은 안성지역의 만세운동과 관련한 유물과 기록들이 전시되어 있는 곳입니다.
1919년 3·1운동 당시 전국 3대 실력 항쟁지로 가장 격렬한 만세운동을 펼쳐 일제 식민통치기관을 완전히 몰아내고, 2일간의 해방을 이룩한 안성 4·1만세운동의 역사를 널리 알리며, 선열들의 숭고한 자주독립 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후세들에게 나라사랑의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기 위해 세워진 곳입니다.
기념관은 상설전시실과 기획전시실, 기획전시실, 야외 체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전시관에서는 독립운동의 역사적인 자료를 실물 전시, 모형, 영상물과 함께 관람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기념관 내에는 안성지역 독립운동가 선열들의 넋을 위로하고 그 뜻을 기리기 위한 사당인 광복사, 안성3·1운동의 가치와 역사적 항쟁사를 표현한 기념탑인 안성3·1운동 기념탑 등이 있습니다.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안성 독립운동 이야기를 들려주는 창작 인형극과 직접 무궁화를 관찰하고 재밌는 체험을 해볼 수 있는 나라사랑꽃 무궁화 등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주소: 경기도 안성시 원곡면 만세로 868 (칠곡리)
문의: 031-678-2478
양평 몽양여운형기념관…몽양 여운형 선생의 삶과 정신을 체험할 수 있는 곳

양평 몽양여운형기념관. ⓒ 대한민국 구석구석
양평 몽양여운형기념관은 우리 민족의 자주독립과 평화통일을 위해 일생을 바친 민족의 위대한 지도자 몽양 여운형 선생의 삶과 정신을 널리 알리고자 2011년 11월 27일 개관했습니다.
함양 여씨가 양평에 입향한 1715년 지어진 생가는 몽양 선생이 1886년 출생해서 부친 탈상을 끝낸 뒤 서울로 이사 간 1908년까지 사신 곳입니다. 6·25 전쟁 중에 소실되었다가 2001년 양평 군민들의 노력으로 생가터가 정비되고 이듬해 기념비가 건립됐습니다.
2008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된 것을 계기로 서거 64주년인 2011년 생가가 복원됐습니다. 생가 복원과 함께 건립된 기념관은 서거 당시 입고 계시던 혈의, 장례식에 사용된 만장, 서울 계동 집에 있던 책상, 2008년 추서된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등의 유품과 자료를 전시해 선생의 삶과 정신을 체험할 수 있도록 꾸며져 있습니다.
한편, 몽양교육자료관은 기념관의 부속시설로 2023년 5월 25일 개관했습니다. 몽양선생의 사상과 활동을 현대에 전파하는 창구로서 몽양의 자료들을 쉽게 편하게 보고 검색할 수 있는 곳입니다. 또한 몽양의 자료와 서적이 있는 도서자료실과 70석 규모의 강당, 30석 규모의 교육실 등이 있습니다.
주소: 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몽양길 66 (신원리)
문의: 031-775-5600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4.15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 105주년을 맞아 2024년 개관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 ⓒ 대한민국 구석구석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은 2024년 4월, 4.15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 105주년을 맞아 화성지역의 격렬했던 독립운동을 널리 알리고 역사적 가치를 전하기 위해 개관했습니다.
화성시는 제암리·고주리 학살사건으로 희생된 29명(제암리 23명, 고주리 6명)을 기리기 위해 2001년부터 제암리 3.1운동 순국기념관을 운영해 왔으며, 이를 대규모로 확대해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을 건립했습니다.
기념관은 제암리 학살사건이 이루어진 현장에 연면적 5,414㎡ 규모의 지상 1층, 지하 1층의 기념관과 역사문화공원이 함께 자리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 조성했습니다.
전시실은 상설전시실·기획전시실·어린이전시실 3개로 화성시 독립운동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특히, 상설전시실은 개항기부터 광복까지 화성독립운동사를 주제로, 기획전시실에서는 화성독립운동의 다양한 주제를 선정해 시민들에게 전시관람의 기회를 제공해 관심을 끕니다.
주소: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제암고주로 34 (제암리)
문의: 031-5189-1950
안산 최용신기념관…상록수 최용신, 샘골과 함께 걷다

안산 최용신기념관, ⓒ 대한민국 구석구석
안산 최용신기념관은 일제강점기 농촌계몽운동에 앞장 섰던 여성 독립운동가 최용신 선생을 기리고자, 2007년 11월에 건립한 공립박물관입니다. 국가보훈처 지정 현충 시설입니다.
최용신(崔容信, 1909년 8월 12일~1935년 1월 23일) 선생은 한국의 독립운동가, 농촌계몽운동가입니다.
경기도 수원군 반월면 사리(현재 경기도 안산시 본오동)에서 봉사한 농촌운동가입니다. 이후 소설가 심훈의 대표작인 《상록수》의 모델이 되기도 했습니다.
기념관은 최용신 선생이 샘골 마을 사람들과 함께 세운 샘골 강습소가 있던 곳에 건립됐습니다.
지층에는 최용신의 삶과 정신을 영원히 기억하는 주제의 전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기념관이 위치한 상록수공원 내에는 최용신 묘소가 함께 자리하고 있습니다.
주소: 경기도 경기 안산시 상록구 샘골서길 64 상록수공원 (본오동)
문의: 031-481-3040
김포시 독립운동기념관…김포의 독립운동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공간

김포 독립운동기념관. ⓒ 대한민국 구석구석
지난 2013년 문을 연 김포시 독립운동기념관은 김포 지역에서 일어났던 독립운동 정신을 계승하고 선열들을 기리기 위해 세워졌습니다.
기념관이 조성된 곳은 1919년 오라니장터 만세운동이 일어났던 장소로, 김포 지역의 항일운동 관련 자료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1층 상설전시관에는 김포 지역에서 일어난 독립운동을 재현한 영상과 김포를 비롯한 전국의 독립운동 역사 등을 전시하고 있으며, 조마리아(안중근 의사의 어머니) 여사가 안중근 의사에게 보낸 마지막 서신과 안중근 의사의 국가안위노심초사 기증품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기획전시실에서는 3·1절과 8·15 광복절 특별 전시와 그밖에 다양한 주제의 전시를 선보입니다. 특히, 앞서 지난 2023년에는 김포시 독립운동기념관 상설 및 기획전시실 내부를 3D 모델링 후 가상공간에 재현한 메타버스 가상전시관을 오픈했으며, 다양한 미션을 해결하며 재미있게 김포 독립운동사에 대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주소: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양곡2로30번길 46 (양곡리)
문의: 031-996-6270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경기관광 #광복절 경기도 여행지 추천 #광복절 #파주 한국근현대사박물관 #안성 3·1운동기념관 #양평 몽양여운형기념관 #화성시독립운동기념관 #안산 최용신기념관 #김포시 독립운동기념관 #파주시 #안성시 #양평군 #화성시 #안산시 #김포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