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일이 먼저 시작되는 경기. ⓒ 경기도청
사회와의 연결이 느슨해지고, 일상에서 한 걸음씩 멀어지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혼자만의 공간에 머무르며 마음의 문을 닫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다시 밖으로 나오는 일은 더 큰 용기가 필요합니다.
경기도는 이러한 어려움에 주목하며 고립·은둔 청년과 정신건강 취약계층을 위한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경기 고립·은둔 청년 지원사업’은 사회와의 단절 완화와 자립의 발판 마련을 돕고, 경기도립정신병원은 전문적인 치료와 회복을 위한 안전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경기도가 8월 22일까지 고립·은둔 청년 지원 사업 ‘나와(with me), 볼만한 세상’ 2차 참여자 200명을 모집합니다. ⓒ 경기도청
경기 고립·은둔 청년 지원사업
경기도가 고립·은둔 청년의 일상 회복을 돕기 위해 오는 22일까지 고립·은둔 청년 지원 사업 ‘나와(with me), 볼만한 세상’ 2차 참여자 200명을 모집합니다.
지원 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19~39세 고립·은둔 청년입니다. 도는 지난 6월 진행된 1차 모집에서 300명을 선발했으며, 이번 2차 모집을 포함해 올해 총 500명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선정된 200명은 전문 상담가의 초기상담 후 욕구·상태 등에 따라 심층 상담과 온라인 활동, 마음 돌봄, 관계 맺기, 일 경험, 반려동물 봉사활동, 지역 살기 체험 등 일상 회복 프로그램 등에 참여하게 됩니다. 프로그램을 마친 다음에도 자조 모임과 고립·은둔 청년 쉼터, 타 사업 연계 등을 통해 일상 회복을 지속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참여를 희망하는 청년은 경기청년포털
(youth.gg.go.kr) 또는 홍보 포스터의 QR코드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상담과 프로그램은 수원(팔달구) 2곳, 성남(분당구) 1곳, 의정부(의정부1동) 1곳 등 총 4개 거점 운영기관(나와봄 센터)에서 진행됩니다. 참여자 희망 시 비대면으로 상담을 진행하거나, 거점 운영기관 외 인근 청년 공간에서 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운영기관은 고립·은둔 청년의 쉼터로도 활용되며, 사업 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누구나 방문해 독서나 휴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김선화 경기도 청년기회과장은 “고립·은둔 청년들이 일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사회적 인식 개선을 비롯해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고립·은둔 청년 지원 사업은 경기청년참여기구를 통해 청년들이 직접 제안한 사업으로, 지난해 처음 추진됐습니다. 도는 ‘나와(with me), 볼만한 세상’이라는 이름 아래 지난해 206명의 고립·은둔 청년과 그 가족에게 심리 상담과 일상 회복 프로그램을 제공했습니다.

경기도립정신병원은 24시간 정신건강의학과 응급입원 및 행정입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의료기관입니다. ⓒ 경기도청
경기도립정신병원 운영
경기도립정신병원은 정신질환으로 인한 심리적·사회적 위기에 놓인 도민을 위해 지역자원(기초센터, 동료지원, 정신재활시설, 전환시설, 가족지원)과 연계하여 24시간 정신건강의학과 응급입원 및 행정입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공의료기관입니다.
2020년 6월 11일에 개원하여 용인시 기흥구에 위치하고 있는 정신건강의학과 전문병원으로, 병상 규모는 50개이며, 정신과의사 5명, 가정의학과 의사 1명 등 6명의 의사와 간호사, 약사 등 총 53명이 일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기도립정신병원은 24시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상주하며 중증정신질환자의 응급·행정입원이 가능한 대응체계를 구축해 치료 사각지대를 최대한 없애고, 다수 정신병원에서 관행적으로 진행했던 격리, 강박 등의 처치 대신 인권을 존중하는 입원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회복된 당사자를 통한 절차보조 및 동료지원, 당사자를 도울 수 있는 사회관계망을 복원하는 초기집중네트워크 상담 등 조속한 지역사회 복귀를 돕는 회복지원 프로그램도 병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자를 돌보는 가족들을 위한 상담 및 교육 등도 지원합니다.
한편, 경기도립정신병원은 2020년 개원 당시 ‘새로운경기도립정신병원’이었으나 지난해 6월 ‘경기도립정신병원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조례’ 개정으로 더 간결하고 도민의 인식이 용이한 ‘경기도립정신병원’으로 명칭을 변경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전화(031-300-6200)로 문의하거나 누리집
(www.mentalhospital.or.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경기도청년 #고립 #은둔 #지원사업 #일상회복 #반려동물 #봉사활동 #마음돌봄 #경기도립정신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응급입원 #행정입원 #입원치료 #인권 #사각지대 #사회관계망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