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일이 먼저 시작되는 경기. ⓒ 경기도청
최근 경기도가 추진해 온 「광복 80주년 기념 안중근 의사 유묵(붓글씨) 귀환 프로젝트」와 관련해 역사적 책임감을 갖고 유묵 귀환을 반드시 성사시키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안중근 의사 유묵 귀환 프로젝트에 포함돼 있는 안중근 의사의 유묵은 총 2점으로 ‘獨立(독립)’과 ‘長歎一聲 先弔日本(장탄일성 선조일본)’입니다.
약 20년 전 일본에서 민간 탐사팀에서 최초로 발견된 이래로 일본 측 소장자의 국내 반환 의사를 확인하고, 귀환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 왔는데요.
현재까지 확인된 안중근 의사의 유묵은 60여 점으로, 이 중 31점을 우리 정부는 보물로 지정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알려진 안중근 의사의 유묵과는 달리 ‘獨立(독립)’, ‘長歎一聲 先弔日本(장탄일성 선조일본)’은 항일정신이 직접 투영된 작품으로서 그 가치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안중근 의사의 의지가 담긴 2점의 유묵

최근 경기도가 「광복 80주년 기념 안중근 의사 유묵(붓글씨) 귀환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그중 첫 번째 작품인 ‘독립’은 국내 전시가 몇 차례 있었으나 아직 완전한 귀환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 경기도청
이번 프로젝트의 첫 번째 작품인 ‘獨立(독립)’은 뤼순 감옥에서 안 의사가 직접 써서 일본인 간수에게 건넨 것으로, “나는 조국의 독립을 위해 죽는다”는 굳센 신념을 두 글자로 응축한 대표작입니다.
현재 교토 류코쿠 대학이 일본인 간수의 후손으로부터 위탁받아 보관 중입니다. 국내 전시가 몇 차례 있었으나 아직 완전한 귀환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 작품 ‘長歎一聲 先弔日本(장탄일성 선조일본)’은 “큰 소리로 길게 탄식하며, 일본의 멸망을 미리 조문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안 의사가 일본제국 관동도독부(여순감옥과 재판부를 관장)의 고위 관료에게 건넨 작품으로, 이후 그 관료의 후손이 보관해 왔습니다. 죽음을 앞두고도 흔들림 없었던 안 의사의 기개와 역사관, 세계관이 담긴 작품으로, 국내에 들어온 적이 없었습니다.
두 유묵은 항일 투쟁의 결정체이자 안 의사의 동양평화 사상을 상징하는 중요한 문화유산이지만, 오랜 기간 일본에 남아 있었습니다.
안중근 의사 유묵 귀환 프로젝트는 진행 중

유묵의 귀환 프로젝트 추진에 나선 경기도는 두 점 중 하나인 ‘장탄일성 선조일본’을 최근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다. ⓒ 경기도청
유묵 두 점의 귀환 프로젝트 추진에 나선 경기도는 ‘장탄일성 선조일본’을 최근 국내로 들여오는 데 성공했습니다.
‘장탄일성 선조일본’은 현재 경기도와 일본 소장자 간의 협상을 중재해온 우리 민간 탐사팀이 보관 중입니다.
반면에 ‘독립’은 아직 일본에 있습니다. 이에 경기도는 「광복 80주년 기념 안중근 의사 유묵(붓글씨) 귀환 프로젝트」는 진행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경기도는 김동연 지사의 강한 의지에 따라 앞으로 유묵 귀환을 반드시 성사시키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귀환이 무산될 경우, 작품이 개인 소장자나 해외 수집가에게 넘어갈 수도 있는 상황인 만큼 공공의 역사 자산이 영원히 국내로 돌아올 수 있도록 역사적 책임감을 갖고 귀환 프로젝트에 임할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외에도 경기도는 이번 프로젝트가 성사되면, 단순한 일회성 이벤트에 그치지 않도록 한반도 평화의 상징이자 안중근 의사의 고향(황해도 해주)과 가까운 DMZ지역에 ‘안중근 평화센터’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평화센터는 안중근 기념사업은 물론 추가 유묵 발굴수집, 동아시아 평화 교류를 위한 연구 및 포럼 등 다양한 활동을 전개할 예정입니다.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광복 #광복80주년 #안중근 #안중근의사 #유묵 #붓글씨 #독립 #장탄일성_선조일본 #민간탐사팀 #국내반환 #귀환 #동양평화사상 #문화유산 #역사적책임 #귀환프로젝트 #안중근_평화센터 #동아시아평화교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