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일이 먼저 시작되는 경기. ⓒ 경기도청

경기도는 고물가로 늘어난 대학생 생활비 부담을 실질적으로 낮추기 위해 전국 최초로 ‘대학생 천원매점’을 성남 가천대학교와 평택대학교에 3일 개소했다. 사진은 가천대학교 개소식 모습. ⓒ 경기도청
3일 문을 연 가천대학교 천원매점 일일점원에 나선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대학생들과 매점 음식을 나누며 기후위기 등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소통했습니다.
경기도는 고물가로 늘어난 대학생 생활비 부담을 실질적으로 낮추기 위해 전국 최초로 ‘대학생 천원매점’을 성남 가천대학교와 평택대학교에 3일 개소했다고 밝혔습니다.
가천대 개소식에는 김동연 지사를 비롯해 이길여 가천대학교 총장, 김성록 NH농협은행 경기본부장, 김민성 가천대학교 학생 대표 등이 참석했습니다.
대학생 천원매점은 NH농협은행 경기본부의 기부금을 재원으로, 학생 자치 기구가 직접 운영하며 경기도가 행정적 지원을 하는 가게로, 청년층 지원을 위한 새로운 민·관·학 협력 모델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천원매점에서는 학생들의 선호도 조사를 거쳐 선정된 즉석밥, 참치캔, 컵라면 등 먹거리와 샴푸, 클렌징폼 등 생필품 30여 종을 취급합니다. 재학생 인증 후 물품 4개를 ‘꾸러미’로 1천 원에 구매할 수 있으며, 시중가 대비 90% 이상 저렴해 월말·학기초 학생들의 생활비 절감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김동연 지사는 이날 점원용 조끼를 입고 일일 천원매점 점원으로 참여하며 학생들과 소통했다. ⓒ 경기도청
김동연 지사는 이날 점원용 조끼를 입고 일일 천원매점 점원으로 참여하며 학생들과 소통했습니다.
매점 오픈 시간은 오전 11시 30분이었지만 학생들은 오전 10시부터 일찌감치 줄을 서며 뜨거운 호응을 보냈습니다.
천원매점 1호 손님은 자취생으로, “최근 물가 상승으로 생활비 부담이 컸는데, 필요한 물건을 저렴하게 살 수 있어 큰 도움이 된다”며 “청년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좋은 정책”이라고 소감을 밝혔습니다.
젊은 학생들이 기후문제에 관심 가져주길

김 지사는 일일 점원 참여에 이어 컵라면과 만두 등 매점 제품을 활용해 대학생들이 즐겨 먹는 레시피로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학생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다. ⓒ 경기도청
김 지사는 일일 점원 참여에 이어 컵라면과 만두 등 매점 제품을 활용해 대학생들이 즐겨 먹는 레시피로 다양한 음식을 만들어 먹으며 학생들과 소통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이날 한 학생은 “환경, 기후위기 관련해서 경기도의 RE100 실천에 대해 기사로 접했는데, 감명 깊었다”고 하자 김 지사는 “아침에 안 그래도 네이버에 가서 기후회의를 하고 오는 길”이라며 경기도의 기후위기 대응에 대해 소개했습니다.
이어 김 지사는 “경기도가 기후위기 대응, 또 ESG에 가장 적극적이다. 그래서 도민들에게 ‘기후행동 기회소득’이라는 앱을 깔아서 걷거나 대중교통을 타면 포인트를 준다”며 “또 기후도민 총회라고 해서 기후위기에 대응을 같이할 도민들로 하여금 회의체를 만들어서 거기서 좋은 의견들도 직접 듣고 있으니 많이 관심 갖고 참여해달라”고 당부했습니다.
김 지사는 현장에서 경기도 관계자들에게 경기도에 주소를 둔 도민뿐만 아니라 경기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은 거주지 관계없이 기후행동 기회소득 대상자에 포함하는 방법을 적극 검토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김동연 지사는 “실제로 다른 시도에서 벤치마킹하려고 많이들 연락이 오고 있다. 전국으로 퍼질 텐데, 경기도민만으로 제한할 생각은 없다. 좋은 제도니까 전국적으로 퍼져나가게 하고 싶다”며 “특히 젊은 학생들이 기후 문제에 관심을 많이 갖고 목소리를 내고 행동으로 옮기고 했으면 좋겠다”고 말했습니다.

천원매점은 사업은 경기도가 올해 3월부터 운영 중인 ‘사회혁신플랫폼’의 첫 결실로, 기후·돌봄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도민 참여와 협업을 기반으로 해결하는 정책 추진 모델이다. ⓒ 경기도청
한편, 천원매점은 사업은 경기도가 올해 3월부터 운영 중인 ‘사회혁신플랫폼’의 첫 결실로, 기후·돌봄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도민 참여와 협업을 기반으로 해결하는 정책 추진 모델입니다. 경기도는 천원매점을 시작으로 플랫폼형 정책 성과를 축적하고, 기업·지역사회와의 파트너십을 확대해 사회적 가치 창출을 지속할 계획입니다.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대학생 #천원매점 #생활비부담 #민관학협력모델 #먹거리 #생필품 #꾸러미 #1천원 #소통 #기후위기 #기후대응 #RE100 #기후회의 #기후도민 #기후행동기회소득 #사회혁신플랫폼 #사회적가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