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일이 먼저 시작되는 경기. ⓒ 경기도청
경기도는 시내․외버스 노조가 9월 30일 최종 협상 결렬 시 10월 1일 첫차부터 시내․외 버스 총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하기로 했습니다.
경기도에 따르면 현재 노조 측은 공공관리제는 통상임금을 포함한 서울시 수준의 임금 인상, 민영제는 탄력근로제 연장 반대와 1일 2교대제 전환, 공공관리제와 임금 격차 해소를 위한 임금 인상을 주장하고 있으나 회사 측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입니다.
전체 시내·외 버스의 80%에 달하는 8,437대 파업 예상
노조는 9월 30일 경기지방노동위원회 최종 조정회의까지 결렬되면 시내·외 버스 50개 업체 소속 조합원들을 대상으로 10월 1일 첫차부터 전면 파업을 예고한 상황입니다. 경기도는 전체 시내·외 버스 1만 575대 중 약 8,437대(80%)가 파업에 참여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습니다.
도는 경기지방노동위원회의 조정시한 만료 전까지 최대한 노·사 대표를 설득하고 파업 실행 직전까지 노·사간 합의를 적극 중재할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경기도는 시내․외버스 노조가 9월 30일 최종 협상 결렬 시 10월 1일 첫차부터 시내․외 버스 총파업을 예고함에 따라 비상근무체제에 돌입했다. ⓒ 경기도청
버스 파업 대비 비상수송대책본부 구성·24시간 근무체제 돌입
경기도는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를 대비해 시군 및 경기도버스운송사업조합 등 유관기관과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도를 중심으로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24시간 비상근무 체계를 가동할 예정입니다.
파업 기간 각 시군과 함께 버스 이용 수요가 많은 지하철역 등 주요 지역 234개를 주요 탑승 거점으로 지정해 전세 및 관용버스 381대를 투입해 거점간 연결을 통해 이동수요를 대체교통수단으로 전환합니다. 동시에 마을버스 운행 시간연장과 비파업 시내버스 노선을 활용하고 택시 집중배차와 수도권 전철 및 경전철 운행시간 연장을 통해 도민 불편을 최소화한다는 방침입니다. 이밖에도 출․퇴근 통행이 많은 거점지역 중심으로 교통혼잡에 대비해 교통경찰 배치 등 교통관리를 경찰청과 협의하고 있습니다.
누리집·누리소통망 통한 대체 노선 안내 등도 함께 추진
파업으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해 도민 대상 홍보도 병행합니다. 경기도버스정보시스템
(gbis.go.kr)과 도, 시군 누리집 및 누리소통망(SNS), G버스 TV, 정류소 안내문 등을 통해 파업 상황을 신속히 전파하고 전철 등 대체 운송수단을 활용해 안내할 예정입니다.
김광덕 경기도 교통국장은 “노·사간 중재를 통해 원만한 합의를 통해 파업이 실행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그럼에도 파업이 현실화되면 언론과 누리소통망(SNS) 등을 통해 도민들에게 관련 내용을 상세히 알리고, 시군 및 유관기관과 함께 비상수송대책 추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습니다.

경기도는 노·사간 중재를 통해 원만한 합의를 통해 파업이 실행되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고 있다 ⓒ 경기뉴스광장 허선량
#경기 #경기도 #경기뉴스광장 #Gyeonggi #Gyeonggido #경기도버스파업 #경기도교통대책 #비상수송대책 #경기도뉴스 #경기도교통 #시내버스 #시외버스 #대체교통수단 #전세버스투입 #마을버스운행연장 #택시집중배차 #전철연장운행 #도민불편최소화 #교통혼잡대책 #경기도비상근무 #노사협상 #경기도정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