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 발전 방향 토론회 ⓒ 경기도
행정 문서 작성부터 법규 분석까지… AI가 돕는 스마트 행정의 시작
경기도가 지방정부 중 최초로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플랫폼을 행정업무에 도입했습니다. 이번에 선보인 ‘경기 생성형 AI플랫폼’은 국내 기업이 개발한 AI 5개 모델에 도 행정데이터를 학습시켜 만든 시스템으로, 외부 플랫폼에 의존하지 않고 경기도가 직접 운영하고 통제할 수 있는 ‘소버린 AI(Sovereign AI)’입니다. 즉, 정보 유출 걱정 없이 데이터 주권을 지키는 안전한 AI 행정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AI가 행정을 더 똑똑하게!
‘경기 생성형 AI플랫폼’은 공무원들이 매일 사용하는 다양한 행정업무를 도와줍니다. AI가 문서를 대신 작성하고, 법규나 행정심판 사례를 찾아주며, 회의록도 자동으로 정리해 줍니다. 이 덕분에 공무원들은 반복적인 일에서 벗어나 더 창의적이고 전략적인 행정에 집중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데이터 기반의 판단이 가능해지면서 객관적이고 효율적인 행정 서비스도 기대됩니다.

토론 및 패널 발표 ⓒ 경기도
지방정부 AI의 방향을 묻다
서비스 개통을 기념해 경기도는 11월 4일, 도청 단원홀에서 ‘지방정부 소버린 AI 방향을 묻다’ 토론회를 열었습니다. 이 자리에는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를 비롯해 KT, 퓨리오사AI, 업스테이지 등 국내 주요 AI 기업 관계자들이 참여해, 공공영역에서의 AI 활용과 데이터 주권 확보 방안을 함께 논의했습니다. 또한 행사장에는 11개의 AI 전문기업 상담 부스가 마련되어, 공공기관 관계자들이 실제 AI 기술과 적용 사례를 직접 살펴볼 수 있었습니다.

고영인 경제부지사 ⓒ 경기도
“공무원이 더 창의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 만들 것”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경기도가 지방정부 최초로 생성형 AI 행정을 실현했다”며 “앞으로도 안정적이고 신뢰도 높은 서비스를 통해 공무원이 창의적으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습니다.
경기도는 앞으로 시범운영을 거쳐 플랫폼의 안정성을 검증한 뒤, 도민 대상 서비스로도 확대 적용할 계획입니다. 이제 행정에도 AI가 함께하는 시대! 경기도가 그 첫걸음을 내디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