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포트]
파주시의 콩 재배 농가.
올해는 40도 가까이 치솟는 뜨거운 날씨가 길어지고
갑작스러운 폭우도 잦아서 재배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광재 / 콩 재배 농민]
“기후이상으로 인해서 점점 콩을 생산하는 방법이 취약해지고 있어요.
아무리 방제를 열심히 해도 벌레들이라든지 바이러스라든지 이런 것들이 언제 어디서 나올지 모르거든요.”
벼도 사정이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봄엔 저온성 해충, 늦여름과 초가을엔 벼멸구 피해를 보지는 않을까 늘 시름이 깊습니다.
최근에는 급변하는 기후 탓에 이를 예측하는 것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이세영 / 벼 재배 농민]
“피해가 발생한 다음에 관찰이 되는 건데 사전관찰이 참 어렵습니다.
만약에 사전 예측할 수 있다면 농가에선 시간을 벌고 고품질의 벼를 생산하는데 굉장히 유리할 것 같습니다.”
이처럼 급변하는 기후변화 속 식량안보를 지키기 위해 경기도가 나섰습니다.
[성제훈 / 경기도농업기술원장]
“작물의 생육환경에 이상 징후가 발생하기 전에 사전 경고하고 농민들이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하고자 합니다."
‘AI 기반 불량환경 조기예측 시스템’ 인데요.
작물 유전자 분석을 통해서
병해충이나 고온, 가뭄 등 작물들이 겪을 스트레스를 정량화된 데이터로 변환하고
AI는 토양, 기상, 유전자, 병해충 예찰 정보 등을 학습해 정확하게 예측을 하게 됩니다.
[장정희 /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팀장]
“mRNA 분석을 통하면 미리 어떤 병에 걸렸는지 무슨 스트레스를 받는지 알 수 있게 됩니다.
생체정보, 기상정보, 토양정보 병해충 예찰에 대한 정보들을 AI가 학습을 하게 됩니다. (이를 통해서) AI가 정확하게 예측을 하게 됩니다.”
기존에는 환경변화에 따른 작물의 반응이 나타난 후에
육안으로 관찰하고 대응할 수밖에 없었다면
이 시스템을 통해서는
병해충 등 불량환경이 발생하기 전에 빠르게 예측해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농기원은 먼저 벼와 콩을 대상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며
향후 다양한 작목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입니다.
구축된 데이터와 서비스는
경기도농업기술원 사이버 식물병원 홈페이지 등을 통해 개방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농가는 불필요한 농약과 비료 사용을 줄이며
최적의 수량과 품질을 확보할 수 있고
더 크게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농업정책을 세우는 데도 큰 도움이 될 전망입니다.
GTV뉴스 이슬비입니다.
[자막]
1. 파주시 소재 콩 재배 농가
2. [이광재 / 콩 재배 농민]
3. 화성시 소재 벼 재배 농가
4. [이세영 / 벼 재배 농민]
5. [성제훈 / 경기도농업기술원장]
6. AI기반 불량환경 조기 예측 시스템 구축
7. [장정희 / 경기도농업기술원 작물육종팀장]
8. 병해충 발생 전 예측해 선제 대응 가능
9. 벼·콩 대상 개발 후 다양한 작목으로 확대
10. 농민 생존권과 식량안보에 도움 될 전망
11. 영상촬영: 이효진 영상편집: 강윤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