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국토교통부의 K-패스를 경기도민 맞춤형으로 바꾼 ‘The 경기패스’
이용한도를 무제한으로 바꾸고 청년 기준을 39세까지 확대했습니다.
전국 어디서나 대중교통을 타면 다달이 적게는 20%에서 최대 53%까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홍수민 / 양주시 덕계동]
“충분히 많이 보탬이 된다고 생각을 하고요. 청년층 같은 경우에는 30%까지 환급을 해주니까 많이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지난해 5월 시행된 후 도민들은 1인당 평균 한 달에 6만7천 원의 교통비를 쓰고 2만 원을 환급받았습니다.
약 30%를 환급받은 건데, 연간 환급액으로 따지면 24만 원에 달합니다.
눈 여겨 볼만한 건 1인 평균 대중교통 이용 횟수가 달라졌다는 겁니다.
지난해 5월 29회에서 11월에는 39회로 늘어났습니다.
[스탠드업]
“이산화탄소 감축량을 계산해 보면 연간 약 22만 톤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됩니다. 30년생 소나무 1,100만 그루가 1년 동안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과 맞먹습니다.”
환경은 물론 지역경제에 미치는 효과도 상당합니다.
The 경기패스 이용자의 56%가 절약한 금액을 외식이나 여가 등에 썼다고 답했습니다.
최근 1년 동안의 환급액인 1,908억 원 중 1,072억 원이 소비로 이어진 셈입니다.
[윤태완 / 경기도 광역교통정책과장]
“앞으로는 도민 모든 계층에게 골고루 교통비 환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여러 가지 제도를 발굴하겠습니다.”
The 경기패스가 교통복지를 넘어 기후 위기 대응과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세 마리 토끼를 잡는 대표 민생정책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GTV뉴스 최창순입니다.
[자막]
1.홍수민 / 양주시 덕계동
2.도민 평균 월 6만7천 원 교통비 지출…연간 24만 원 환급
3.대중교통 이용 횟수 29→39회로 증가
4.최창순 기자
5.이용자 약 56% 절약된 금액 외식·여가 등 소비
6.연간 약 1,072억 원 소비 창출 효과
7.윤태완 / 경기도 광역교통정책과장
8.영상취재 : 나인선 영상편집 : 강윤식